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풍부한 동물의 장에 기생하고 있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에서 특별히 에너지를 만들 필요가 없다. 그러나 조상이 같은 다른 종은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노케로코모노이데스 역시 원래는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었을 것이다.초기 가설에 반대되는 입장인 후기 가설은 최근에 주목을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젖산으로 바뀌면서 ATP가 나온다. 이 과정은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ATP 생성과 달리 산소가 필요없고 더 빠르다. 항산 산소가 부족하고, 빨리빨리 에너지를 공급받길 원하는 암에 안성맞춤인 반응이다(에너지 생산 효율은 낮다).피루빈산이 미토콘드리아에 들어가는 것을 막으면, 암 세포는 TCA 회로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강우량이 1970년 이전 대비 19%나 증가했을 정도로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아직 연구 초기 단계지만, 산사태를 예보하겠다는 내 연구팀의 시도에 세계 곳곳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한국과 같은 시스템을 설치해서 서로 비교하는 공동연구를 제안해 왔고,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른 영장류와 비교해 확실히 독보적이다. 수천만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하면서 사냥에 필요한 복잡한 먹이잡이 도구를 스스로 몸에 장착했다.이들은 소리와 진동의 과학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조상에서 자손으로 이어지는 진화의 긴 터널 속에서그 원리를 깨쳤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로봇에게 가장 쾌적한 환경이었다. 로봇은 충전단자도 집어들었다가, 윤정은 충전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내려놓았다. 충전, 사람의 충전. 로봇은 교양관 2층에 있는 자판기를 작동시켜 오렌지주스를 가지고 왔다. 윤정은 오렌지주스를 한 번에 통째로 다 마셔버렸다.다행히 로봇에게 가장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팀을 짜서 과제를 해결하는 팀 프로젝트형으로 바꾼 것이다.왜 하필 통계일까? 우리는 필요한 물건이 무엇인지, 어디로 가야 차가 막히지 않는지, 건강관리를 하려면 어떤 음식을 먹고, 어떤 운동을 해야 하는지 데이터가 알려 주는 빅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2016년 6월호 특집 기사 참고).이런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개발을 위한 과감한 투자가 어려워진다. 김 이사는 “쥐와 사람 사이에 대(大)동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계속 나오고 있다”며 “대동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바로 돼지”라고 말했다. 돼지는 인간과 유전적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편인데다가, 다른 동물에 비해 번식력이 뛰어나 연구 동물로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것인지를 먼저 판단하지 않고 성급히 가해자의 범죄 행위와 연관 짓는다면 수사력을 불필요하게 낭비할 수 있다. 법의인류학자들이 동물의 습성을 연구하고 익숙해지려 노력하는 이유다.뼈 부수고 골수 빼먹는 갯과 육식동물개나 늑대와 같은 갯과 육식동물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만큼 습성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난 호에는 독일이 낳은 대문호 ‘괴테’의 이름을 딴 침철석(괴타이트)을 소개했다. ‘쿠트나호라이트’라는 광물의 결정 모양을 그대로 지닌 특이한 가상(가짜 모양, ... 광물과 화석을 전시하는 자연사박물관이 단순한 볼거리가 아니라, 기초과학의 토대로서 꼭 필요한 이유다 ... ...
- [Tech & Fun] ‘김여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비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신이 상대적으로 나은 집단에 있다고 해서 우쭐댈 필요도 없다. 우리 반 평균 성적이 높다고 내 성적이 반드시 높은 것이 아닌 것처럼, 나는 얼마든지 우리 반은 물론 전교에서도 하위권일 수 있다.건전한 사회라면 평등을 보장하고 격차를 줄일 방법을 찾을 것이다.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