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d라이브러리
"
고안
"(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GEP)’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우수한 학생들 사이에서도 최상위권인 학생을 위해
고안
했다. 프로그램을 선택한 학생은 캠브리지대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한다. 캠브리지대는 전세계에서 MIT등 단 4개 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NUS다. 보통 학부과정은 4년이지만 이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그렇다고 해도 그에 대한 평가가 깎이는 건 아니다. 메르카토르는 근대적인 도법을
고안
하고 지도책을 편찬해 성공을 거뒀을 뿐 아니라 지구의, 과학·수학 기구를 만드는 장인이기도 했다. 여러 지도를 모은 지도책을 ‘아틀라스(Atlas)’라고 처음 부른 사람도 메르카토르였다. 캘리그래피(서체)에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사냥감인 야생마를 잡아 등에 올라타려는 시도를 했고 그 뒤 재갈이나 안장 같은 마구를
고안
해 본격적으로 길들였다는 것이다.지난 2009년 과학저널 ‘사이언스’에는 약 5500년 전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문화 유적지에서 말 화석과 마구, 말젖이 묻어있는 그릇을 발굴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그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없을 것 같은 고차원 공간이나 암흑물질도, 비록 간접적으로라도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
한다. LHC와 같은 고에너지 실험시설이 그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론은 이들을 이끄는 첨병 역할을 한다.이렇게, 미지의 대상을 마치 본 것처럼 알게 하는 힘이 과학에는 있다. 우리는 운 좋게도 그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케플러와 의논했다. 케플러는 결국 가장 효율적으로 대포알을 쌓는 두 가지 방법을
고안
했다. 이것을 ‘케플러의 추측’이라고 한다. 하지만 케플러는 자신의 추측을 증명하지 못했다. 케플러의 추측은 400년이 지난 1998년, 미국의 수학자 토머스 헤일스가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다. 조선 최고의 ... ...
여성의 IQ는 남성보다 높아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는 정신 연령이 떨어지는 학생을 골라내기 위한 지능 검사를
고안
했다. 이 검사는 언어 능력에 초점을 맞췄다. 오늘날 사람의 지능을 나타내는 수치로 가장 많이 쓰는 IQ(Intelligent Quotient)는 독일의 심리학자 윌리엄 스턴이 도입했다. 스턴은 정신 연령을 실제연령으로 나눈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디자인 대회의 최고상이다. 지난해에는 특히 전세계에서 고통받는 수많은 사람을 위해
고안
된 아이디어 여럿이 수상해 주목받았다(왼쪽 아래 QR코드로 제임스 다이슨상 수상작을 확인할 수 있다).그 중 호주 디자이너 에드워드 리나커가 출품한 ‘에어드롭(Airdrop)’은 물이 부족한 지역에 단비를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유기물 태양전지를 가방이나 옷에 붙여 외부에서도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고안
하고 있다.히거 교수팀은 미국에서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원천 기술을 연구를 하고 있으며, 솔라에너지연구소는 유기물 태양전지를 상용화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융합연구는 이미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설명했다. 별도 훈련 없이도 장비만 동물의 몸에 부착해 바로 조종하는 시스템을
고안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경 쓴 물고기를 조종해 해저를 보다연구팀의 최종 목표는 물고기를 원하는 대로 조종하는 것이다. 물고기 조종을 하기 위해 먼저 거북으로 실험하고 있는 것이다. 거북은 어느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5차 교대군)이다.1963년 미국의 수학자 존 톰슨이 단순군을 쉽게 구별해 내는 방법까지
고안
하자, 수학자들은 단순군의 목록은 쉽게 완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 기존 단순군과 다른 성질을 가지는 ‘돌발군’이 연달아 등장하면서 많은 수학자들이 대칭 주기율표를 완성시킬 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