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형"(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먹어야 했어요. 대표적인 용각류인 브라키오사우루스는 몸무게가 30∼80t, 목 길이만 12m인 대형 공룡으로, 하루에 식물을 2t씩 먹었다고 알려져 있지요. 이 때문에 용각류 공룡들은 제대로 씹을 시간도 없이 식물을 마구 입에 넣었을 것으로 보여요.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을 씹지 않고 삼킬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레이저는 ICBM뿐만 아니라 원자도 깰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한 출력을 확보하려면 시스템을 대형으로 만들어야 한다. 레이저 무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레이저는 10kW의 출력을 내는 데 도서관 책장 크기의 거대한 출력 시스템을 요한다. 전투기는 물론이고, 초인적인 힘을 가진 슈퍼맨에게도 ... ...
- [과학뉴스] 플라밍고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큰홍학이 포착돼 화제입니다. 큰홍학(Phoenicopterus roseus)은 홍학과 홍학 속에 속하는 대형 조류입니다. 키 110~150cm, 몸무게 2~4kg으로 홍학 중에서 가장 큽니다. 홍학은 말 그대로 몸빛깔이 붉고, 학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깃털 색은 밝은 붉은색에서 엷은 분홍색까지 다양하고, 날개 끝이 검습니다 ... ...
- [Photo] 바보의 金, 황철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000년대 초 서울 어느 유명 백화점에서 광물 전시회를 열었다. 해외 대형 자연사박물관에 가야 볼 수 있을 법한 수준의 멋진 광물들이 전시됐는데, 최고로 주목을 받았던 전시회의 스타는 단연 황철석이었다. 노랗게 번쩍이는 광택과 매끈한 기하학적 결정이 마치 금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황철석은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지진으로 인한 진동의 주기를 길게 변화시켜 피해를 최소화하거나(면진), 완충기나 대형 무게추를 달아 관성의 법칙을 이용해 지진의 충격을 상쇄시킨다(제진). 그런데 제진 설계와 비슷하게 첨성대의 상단에 있는 ‘이(二)’자 모양의 석재와 ‘정(井)’자 모양의 석재가 무게추 같은 역할을 하는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지구를 바라본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하다. 홍성욱 한국천문연구원 대형망원경사업단 과학연구그룹 연구원은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크기는 정해져 있다”며, “그 너머 우주에 경계가 있는지, 없는지 알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직까지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우주의 크기를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힘쓰고 있다. 그 결과 올해 6월 자체 개발한 ‘정지궤도우주발사체(GSLV-Mk III)’로 3t급의 대형 위성을 정지궤도에 올려 놓는 데 성공했다. 이 발사체는 최대 4t까지 실어 나를 수 있다. 키란 쿠마 ISRO 소장은 GSLV-Mk III 발사 성공 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수십 년 동안 (러시아산 엔진이 아닌) 국산 저온 ... ...
-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파앗~!’ 머리가 삐쭉삐쭉 솟아있는 어느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손바닥에 기를 모아 에너지 형태의 공을 만들어 적을 공격한다. 적은 손바닥에 전기를 흘려 귀를 찌를 정도로 높은 소리가 나는 전기 덩어리를 만들어 대응한다.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처럼 불가능한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천차만별이다. 길이가 100m 안팎인 소형 여객선이 있는가 하면, 원유 30t(톤)을 운반하는 초대형 유조선은 약 350m로 높이 274m인 63빌딩보다 길다. 노 교수의 관심사는 용도에 적합하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배를 설계하는 일이다. 그는 “배를 설계할 때는 방부터 배치해야 한다”며 선반에서 해양시 추선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