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달"(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는 모든 지점 등과 같이 끝까지 경우의 수를 다 따져보면 승패를 알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한다. 그 중에서 이긴 지점에 해당하는 경로의 첫 수를 다음 수로 정한다. 이것을 ‘트리탐색(Tree Search)’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따지는 것은 시간 상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고개를 저었지만, 동료의 동료를 거쳐 플라나리아 분류학의 세계적 권위자에게까지 도달하고나니 답이 나왔다. 한국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희귀한 종이었던 것이다. 더욱 생소한 분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 때도 종종 있었다. 자기 몸에서 나온 벌레라면서 먼지며 실밥 사진을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멀리 확산될 수 있는지 역으로 계산했다. 그 결과, 펄서에서 생성된 양전자가 지구까지 도달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지구에 충돌하는 엄청난 양의 양전자가 펄서 이외에 다른 곳에서도 나와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1월 16일자에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함으로써 중력파를 검출한다. 라이고는 2005년 목표했던 감도에 도달했고, 2007년부터는 유럽 중력파 관측소 ‘버고(Virgo)’까지 가세해 삼중 관측이 진행됐다. 2010년까지 총 6차례 가동을 했는데, 초기 라이고 감도 내에 유의미한 중력파를 발생하는 중력파원은 존재하지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개의 조각으로 만든 곡면이라면, 왠지 한 쪽 방향으로 계속 걸을 경우 곡면의 ‘끝’에 도달할 것 같습니다. 마치 옛날 사람들이 평평한 지구의 끝에 낭떠러지가 있을 거라고 상상했던 것처럼요. 그러나 유한하면서도 끝이 없는 곡면이 있습니다. ‘경계가 없는 곡면’이라면 가능합니다. 지구처럼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입자들은 보통 2~3일 뒤 지구를 덮친다. 고에너지 입자의 경우 수 시간 만에 지구에 도달하기도 한다. 지구의 유일한 보호막인 지구자기장이 이들 입자의 유입을 막아 대개 지상까지 오지는 못한다. 하지만 지구자기장을 따라 입자들이 극지로 이동하면서 극지를 지나는 항공기가 방사선에 ...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지진이 점점 커지는 단계에서 이미 모멘트 규모 7.2에 도달하면 최소한 모멘트 규모 7.4 이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지진 규모에서 0.2는 지진 에너지가 약 2배 차이난다는 뜻으로, 지진 피해도 그만큼 커질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지진 조기 경보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나온 빛을 모아주는 고배율 돋보기를 쓰지 않았다고 가정할 때, 레이저 빔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면적은 발사지점의 면적과 동일한 8cm2다. 10kW의 에너지가 8cm2 면적에 집적되면 단위면적 당받는 에너지는 약 1.25kWcm-2다. 이 정도 히트 비전이면 두께가 5mm인 강철판은 자를 수 있다. 그러나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화산은 미국과 멕시코 사이의 바닷속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특이한 지형이다. 문명이 도달하기 어려운 3000~4000m의 해저면에 기괴한 모양의 아스팔트가 덩그러니 놓여 있다. 지나가던 배가 일부러 투척한 것은 아니다. 땅속에서 배출된 석유가 만든 지형이다. 아스팔트 화산에서는 지층에 함유된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 스트레스, 번뇌, 고통의 원인이 허상 때문이라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철학이 질문을 던지는 인간 본질에 대한 해답은 생각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뺄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리라.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