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서"(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도전을 하면서 특정 부분의 조립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문제를 설명서와는 다른 조립 순서를 찾아내 해결했답니다. Q. 초등학생 10명이 신기록 도전에 참여했어요. 초등학생을 참여시킨 이유가 있나요?가능하면 많은 사람을 참여시키고 싶어요. 우리 도전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면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ORaNGeTaKTaKTaKTRuPICaNa’입니다. 화학원소가 12종류나 나옵니다. 보이시나요? 순서대로 산소(O), 라듐(Ra), 질소(N), 저마늄(Ge), 탄탈럼(Ta), 포타슘(K), 탄탈럼(Ta), 포타슘(K), 탄탈럼(Ta), 포타슘(K), 트리튬(T), 루테늄(Ru), 인(P), 아이오딘(I), 칼슘(Ca), 소듐(Na)이 있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두 물체의 위상학적 성질은 바뀌기 힘들다. 박 교수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교환 순서 역시 오렌지처럼 위상학적 성질이 보호된다”며 “이 입자로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수만 있다면 가장 안정적인, 다시 말해 상업적으로 가장 가치가 있는 컴퓨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앞에 있는 유전자부터 가장 끝에 있는 유전자까지 쭉 나열하면, 앞에 있는 유전자부터 순서대로 머리, 목, 가슴, 꼬리 부분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한다는 뜻입니다(아래 그림). 염색체 상의 유전자 위치와 머리-꼬리 축에서 기능을 할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는 것이죠. 혹스 유전자는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암호와 스테가노그래피는 다릅니다. 암호는 메시지의 글자 순서를 바꾸거나 혹은 글자를 통째로 숫자로 바꾸는 반면, 스테가노그래피는 다른 대상에 감추는 ‘정보 은닉 기술’이지요. 암호는 정보의 모습을 바꾸기 때문에 암호가 노출돼도 푸는 방법을 모르면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건 다름아닌 하리의 친구 가은이였다. 가은이는 그림을 뒤집었을 때 86부터 91까지 숫자가 순서대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물음표에 들어갈 숫자는 87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16 06 68 88 ? 98 키클로스의 미로를 빠져나갈 수 있을까? 하리와 친구들은 미로를 벗어나기 위해 벽을 손으로 짚고 걷기로 했다. ...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연수 집합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집합은 자연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 즉, 자연수가 적인 순서표를 모두 받아간 홀수, 짝수, 유리수 집합은 모두 자연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 무한집합의 크기를 비교했다는 것은 무한을 가무한이 아닌 ‘실무한’으로도 보게 됐다는 뜻이다. 독일의 수학자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총알이 날아와 박힐지도 모르는 일이고요. 그래서 어느 날 지베르티는 그만 그 둘의 순서를 바꾸고 말았습니다. 아마 이 이야기는 들어보신 분이 별로 없으실 겁니다. 저격 대상인 마피아 보스의 심장에 먼저 한 발을 쏘고 그 다음에 허공에 두 발을 쐈거든요. 임기응변이었죠. 지베르티 본인에게 더 ... ...
- [교과연계수업] 작을수록 더 위험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환경과 생태계, 환경오염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5. 수업 지도 순서미세플라스틱의 심각성을 뉴스(또는 기사)를 토대로 알 수 있다 ▶ 미세플라스틱이 무엇인지, 미세플라스틱이 생기는 과정을 설명 한다 ▶ 미세플라스틱이 바다 생태계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왔다. 아이디어의 이름은 ‘데데킨트의 절단’. 그는 ‘유리수 전체를 크기 순서대로 나열한 수직선’을 자르는 사고 실험을 했다. 잘린 수직선 두 개 가운데 작은 수가 있는 쪽을 집합 A, 큰 수가 있는 쪽을 집합 B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네 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할 수 있다. 절단 결과, ➌은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