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
연세대학교
연대
d라이브러리
"
연세대학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올해 3월 서강대 ‘경제학원론’ 강의 도중 생긴 일이다. 교수가 가격탄력도를 설명하기 위해 그래프와 미분의 관계를 칠판에 적자 한 신입생이 “고등학교 때 미분을 안 배웠다”고 말했다. 사학과 2학년 김진욱 씨는 “교수님이 한숨을 내쉬고 커피를 마시고 나서야 강의가 다시 시작됐지만 수업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모처럼 화창한 주말. 일상의 번잡함을 내던지고 간편한 등산복 차림으로 관악산을 올랐다. 땀을 뻘뻘 흘리고 마침내 정상에 오르자 차가운 바람이 금새 몸을 식혀준다. 눈앞에는 600년 고도 서울의 모습이 펼쳐져 있다.그러나 웬걸, 맑은 날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내는 뿌연 연기에 덮힌 듯 시야가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드디어 우리가 해냈어!”지난 여름 늦은 시간까지 불을 밝히고 초조한 마음으로 실험결과를 기다리던 KAIST 혈관내피연구실의 조정현 박사와 석사과정 학생 김경은씨는 서로 마주보며 환한 미소를 지었다. 현미경에 연결된 모니터에 생쥐의 기관지와 귀의 모세혈관에서 마치 나뭇가지처럼 새로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난해 4월 인터넷 서점 ‘알라딘’과 ‘모닝365’에는 다음의 공지문이 떴다. “과학의 대중적 글쓰기에 관심있는 대학생들의 연합 동아리를 만들려 합니다.”이 글을 올린 사람은 다름아닌 ‘과학콘서트’ 의 저자 KAIST 정재승 교수. 그는 왜 이런 글을 올렸을까.“과학적 글쓰기 교육이 단지 중고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말 제8차 유엔환경개발계획(UNEP)의 특별총회 및 세계환경장관회의가 제주에서 열렸다. 1백55개국 장관급 인사, 세계무역기구(WTO)를 포함한 50여개 국제기구 대표, 환경단체 대표, 각국 고위인사 등이 참여하는 대형 국제행사였다.이 회의에서는 특별섹션으로 황사에 대한 주제발표가 있었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마이크로소프트(MS)에는 한국인 수학자가 한명 있다. MS연구소 수석연구원인 김정한(41) 박사가 그 주인공. 김 박사는 이곳에서 유일한 한국인이며 그가 속한 이론수학연구팀에서 유일한 동양인이다. 이 연구팀에는 수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드상 수상자 등 쟁쟁한 수학자들이 여러명 포진해 있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오래전 천문대는 미래를 점치고 나라 살림을 운영하는 밑거름이었다. 신라 첨성대처럼 선조들은 왕궁과 관청 가까운 곳에 천문시설을 세우고 밤새 일어난 천기의 변화를 빠르게 국정에 반영했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천문대는 대부분 높은 산에 위치해 있다. 왜 이처럼 외딴 곳에 천문대를 세웠을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화성에 사람을 보내는 NASA의 방법은 막대한 규모의 우주선과 복잡한 단계가 필요하다.먼저 짐과 거주시설을 실은 무인우주선을 화성으로 보내는데 성공하면 그 다음에 유인우주선이 가게 된다. 여기에 드는 비용은 5천5백억달러로 추정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특명! 물을 찾아라 유인화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성의 호감을 얻기 위한 구애동작으로 어떤 곤충은 날개로 현란한 춤을 춘다. 그 날갯짓은 대략 1분마다 반복된다. 바닷가 갯벌에 서식하는 조개류는 입수공의 여닫이 간격이 약 12시간이다. 이 때문에 밀물이나 썰물의 시기에 맞춰 바닷물 속 먹이사냥을 쉽게 한다. 초파리와 같은 곤충은 하루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인공적인 지능을 갖는 기계가 사람이 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알아서 해결해주고 인간수준의 감성을 보유한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이 정도의 능력은 아니더라도 이미 지능적으로 밥을 지어주는 인공지능 밥솥이나, 빨래의 양이나 더러워진 정도를 스스로 알아내 효과적으로 빨아주는 퍼지 세탁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