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식"(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체온 순으로 영향을 줘 수면 상태로의 진입을 늦춘다.높은 기온은 자율신경계에도 따로 인식된다. 가령 피부의 온각 수용체와 냉각 수용체는 주변 기온을 감지한다. 이 정보는 뇌에서 체온 정보를 취합하는 시각교차앞-전시상하부(PoAH)라는 곳으로 보내진다. PoAH는 다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여러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페이스 잇의 효과를 알아봤다. 렛츠 페이스 잇을 총 20시간 동안 플레이하게 한 뒤 얼굴 인식 능력을 평가한 것이다. 연구팀은 무작위로 한 사람의 얼굴을 보여준 뒤, 여러 선택지에서 제시된 얼굴을 찾게 했다. 그러자 게임을 하기 전 58% 수준이었던 매칭 정확도는 게임을 하고 난 뒤 약 64%까지 ...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보면 실명에 가까운 수준으로 사물을 분간하지 못 해야 하는데, 좀비가 사람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쫓아가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좀비 바이러스 특징 │끊어진 신경을 실시간으로 재생한다? ▲영화 ‘#살아있다’에서 좀비들이 주인공 오준우(유아인)에게 달려들고 있다. 영화에서 묘사된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아니라 로봇과 공학에도 관심이 많았다. 2000년을 앞두고 Y2K(컴퓨터의 2000년 연도 인식 오류)로 시끄럽던 즈음 인기 드라마 ‘카이스트’에서 로봇 축구를 본 뒤부터일까. ‘과학상자’라는 장난감으로 어설프게 엔지니어 흉내를 내보기도 하고, 아카데미 사가 출시한 4석 라디오 키트를 수도 없이 ... ...
- [포토뉴스] 인공신경망으로 묘기 부리는 드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발표했습니다.자율주행 드론은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 스스로 주변 장애물을 인식하고 피합니다. 그런데 카메라에 담긴 영상을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배터리 소모가 심해 방향을 급격하게 바꾸거나 속도를 높여야 하는 곡예 비행은 꿈도 꿀 수 없었죠.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드론과 ...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더 근본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의 몸도 정보를 토대로 세상을 인식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것은 눈으로 들어온 빛이 시신경을 자극하고, 거기서 생겨난 전기 신호가 뇌로 흘러가서 각종 계산을 한 결과입니다. 손으로 만져서 느껴지는 감촉도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보여주는가 하면, 꽃 사진을 늘리거나 뒤틀고 조각낸 뒤 인공지능이 꽃이라고 인식한 사진으로 ‘어디까지 꽃이라고 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전시를 열기도 하죠. 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그 특징을 찾는 순환 신경망(RNN)을 이용해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만들기도 합니다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floating)’ 현상을 해결할 저항 부품들입니다. 플로팅 현상은 아두이노가 신호를 잘못 인식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자면, 아두이노 보드에서 전류는 기본적으로 5V 출력 핀(+)에서 시작해 전압이 낮은 핀(-)을 향해 갑니다. 그래서 스위치를 눌렀을 때 5V 출력 핀에서 출발한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동아리, 여행, 프로젝트, 대회로 꽉 찬 여름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있어야 하고, 로봇 같은 부자연스러운 소리만 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우리는 음성인식 분야 전문가인 도쿄대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와 도쿄대병원 이비인후과 의사의 도움을 받아 이런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기기를 개발했다. 손으로 들 필요 없는 목걸이형으로 디자인하고, 음성변환에 쓰이는 ... ...
-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수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취리히대학교 다비드 스카라무짜 교수는 “장애물을 빨리 인식하고 피할 수 있다면 드론의 속도도 더 빨라질 것”이라며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제한된 배터리로 빠르게 비행해 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