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지
슬기
견식
현명함
재치
분별
기지
d라이브러리
"
지혜
"(으)로 총 461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홍수속에서 실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잘 찾아내는 일은 차라리 현대를 살아가는 '
지혜
'에 속한다.정보의 가치가 높아지자 이를 돈벌이에 활용한 신종산업이 등장했다.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알아보기 쉽게 분류 가공하여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서비스하는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산업이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나머지는 공평하게 가구별로 분배하는 제도를 채택했다. 그들은 재를 비료로 사용하는
지혜
를 터득하고 있었다.별의 이동법칙까지 알아성직자는 일반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신과 직접 연결돼 있음을 과시하기 위해 하늘을 이용했다. 그래서 일식 월식현상이나 천기의 변화를 연구했다. 또 옥수수를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학명의 Homo는 영장류라는 뜻이고 sapiens는 영리하다는 뜻이다. 영장류 중에서도 제일
지혜
롭다는데 사람의 의미를 두고 있다.사람의 동물 분류학상의 위치를 동물계-척색동물문-척추동물아문-포유강-영장목-진원아목(眞猿亞目)-협비류-사람과로 분류한다.여기에서 영장목 이하를 간단히 비교해보면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안데스산맥을 끼고 발달한 잉카문명의 백미는 도로망과 교통조직 그리고 관개시설이다.1492년 콜룸부스의 활약으로 스페인은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하게 된 ... 상상을 초월하는 불가사의한 잉카문명의 유적들을 되돌아보면서 필자는 잉카사람들의
지혜
에 깊은 찬사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식인종 하면 마구 사람을 잡아 먹는 종족으로 생각하고 있다.뇌를 나누어 먹음으로써
지혜
가 머리에서 나온다고 믿고 있는 그들은 뇌를 나누어 먹는데에도 엄격한 서열을 지켰다. 연장자 순으로 그것도 남자들만 먹을 수가 있었다. 이러한 습성은 후일 이 질병의 원인을 알아내는 중요한 단서가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신비스러운 동물로 등장한다.그 내용은 간교하지만 위기를 기지로 벗어나는 토끼의
지혜
와 순박하면서도 우직스러운 거북을 대조적으로 풍자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서양에서도 거북에 관한 전설이나 미신이 적지 않다. 옛날 인도에서는 지구가 커다란 거북의 ... ...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앙티브를 지난다.
지혜
의 도시20년전에 소나무 숲으로 덮여 있던 구릉지대인 이곳이 '
지혜
의 도시'라는 뜻의 소피아 안티폴리스로 발전하리라고는 아무도 생각지 못했다. 1968년 당시 프랑스의 명문대학 에콜 데 미네(Ecole des Mines)의 이사장이었던 라피트(Laffitte) 현 상원의원이 거의 무모한 발상이라고 ... ...
전국 대학 컴퓨터서클 연합회 전시회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한양대팀의 작품, 미취학 어린이를 위한 컴퓨터 동화 '곰돌이의 하루' 등은 생활속의
지혜
가 반짝이는 작품이었다.또한 유틸리티(utility)나 하드웨어 작품과 더불어 다가올 통신시장 개방을 염두에 둔 통신프로그램들도 출품돼 관심있는 이들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서로 다른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한다는 믿음이 있다면 우리는 정보사회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을 함께 살펴보는
지혜
를 가져야 할 것이다.기술문명의 발전이 인류의 풍요로운 미래를 약속하는 사회, 곧 정보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앞에 도사리고 있는 수많은 암초들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80년대들어 우리 ... ...
여우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적에게 자신을 노출시키는 위험을 항상 지니고 있지만 그 냄새를 이용해 즐겁게 사는
지혜
도 동시에 갖고 있다.만주에서 여우의 생태를 연구한 적이 있는 루카시킨이란 사람은 여우가 굴속에서 생활하는 동물이지만 굴을 파는 기술은 신통치 않다고 주장했다. 그 대신 오소리가 파놓은 굴을 빼앗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