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굴대
중심축
회전축
핀
머리핀
못
장식핀
d라이브러리
"
축
"(으)로 총 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축
구공의 속도와 각도에 따른 움직임을 방정식으로 계산해 최적의 각도를 발표했다.
축
구공은 두 손으로 잡고 머리 뒤에서 던지기 때문에 30°로 빠르게 던질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는 것이다. 이때 공에 역회전을 걸어 주면 몇 m 더 나갈 수 있다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도 마찬가지다. 좌우대칭뿐 아니라 상하대칭도 있다. 이미. 피디, 이이피 등은 가운데
축
을 기준으로 위아래가 대칭을 이룬다. 이처럼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완전히 겹치는 것을 선대칭이라고 한다. 봄이면 한 해의 행운을 기리며 대문에 써 붙이는 문장 '立春大吉(입춘대길)'은 네 글자 모두가 ... ...
실내에서 즐기는 포뮬러원(F1) 드래그레이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알파트랙 750만 원보급형 다운힐레이스 300만 원자동차 제작용 오동나무(오동나무와 바퀴,
축
포함) 1만 원올해 10월 전남 영암에서 자동차 경주 레이스 ‘포뮬러원(F1) 코리아 그랑프리’가 열린다. F1 레이스의 박진감 넘치는 스피드를 맛볼 수 있는 드래그레이스(단거리 직선 자동차 경주) 키트가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리면서 약 2만 6000년마다한 바퀴를 돈다. 이것을 세차운동이라고 부른다. 즉 자전
축
의 느린 회전 때문에, 지구에서 관측할 때 하늘의 별들은 1년에 50″(1″는 3600분의 1°) 정도씩 황도(천구 상에서 태양이 움직이는 길)를 따라 동쪽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이 세차운동 때문에 오늘날 춘분 저녁에 보는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세포를 촬영하는 방법을 개발 중이다. 그는 컴퓨터 비전 기술로 대뇌의 연결선인
축
색 조직을 추적하는 연구를 한다. 하지만 데이터만 얻는다고 해서 능사는 아니다. 결국 알고 싶은 것은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연결망 하나하나를 찾아내는 것이다.MRI로 신경세포 간 정보 흐름 본다 “안개 낀 날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세요. 여러분은 x
축
위에 있습니다. 이 때 거울에 비치는 여러분의 모습은 똑같이 x
축
위에 있으면서 거울면의 반대쪽에 있습니다.이제 이해가 가나요?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은 원래 물체와 좌우 대칭이 아니라 거울면에 대해 대칭인 겁니다. 그래서 좌우가 바뀌었다는 표현보다는 앞뒤가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회전’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스핀이라는 이름은 고전역학에서 전자나 원자핵이
축
을 기준으로 자전한다고 가정한 데서 유래했다. 하지만 현대에 오면서 이런 기본 입자들이 양자역학적으로 여러 상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김 교수는 “스핀은 ‘업(up)’과 ‘다운(down)’ 두 가지 ...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래프가 함수인지를 알아보는 이 방법을 영어로 vertical line test라고 한다. 그래프에 x
축
과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직선과 점이 한 곳에서 만나면 이 함수는 일대일함수다. 만약 두 점 이상에서 만나면 이 함수는 x에 대해 같은 값을 갖는 원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일대일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는 진행 방향으로 길이 수
축
이 일어난다. 따라서 입자의 부피가 줄어 밀도(단위부피당 핵자의 개수)가 늘어난다.정면으로 마주보며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밀도가 높은 두 중이온이 충돌하면 온도가 엄청나게 높아진다. 상대론적 중이온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역사이언 스튜어트 지음 | 안재권, 안기연 옮김 | 승산 | 424쪽 | 2만 원오랫동안 예술과 건
축
, 음악에서 핵심적인 개념이었던 대칭은 수학에서는 지금도 불가사의한 이론이다. 이 책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현대 물리학에 이르기까지의 대칭의 역사를 설명한다. 저자는 기묘하고 놀라웠던 수학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