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이후 문제가 약 1만 3800개나 올라왔죠. 그만큼 풀 문제가 많다는 의미기도 하지만, 한
편
으론 같은 유형의 문제나 단순해 보이는 문제가 많아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회원이 함풀문 게시판의 문제 수준이 낮아진 것 같다며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어떤 회원들은 ‘단순 문제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다른 결과였다. 엘바키얀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그는 “사이허브의 사용이 보
편
화되며 목표 대상이었던 논문 접근이 어려운 연구자 말고도 다양한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뜻”이라며 “일각에서는 (사이허브 때문에) 논문 이용에 대한 어려움이 부각되지 않아 오픈 액세스 운동이 약화되고 ... ...
[에디터노트] 환경 특집호를 시도하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봤습니다.두
편
의 서사 작품도 기후 문제를 소재로 합니다. 해도연 작가가 쓴 신작 SF 단
편
‘랄로랑이’는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한 인류의 미래를 아프면서도 아름답게 그려냈습니다. 약 7개월에 걸쳐 연재할 만화 ‘미스터리 온도계의 비밀’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2025년 태양전지 세대 교체 일어날 겁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알렸다.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도하고 있는 태양전지의 역사는 꽤 오래된
편
이다. 실리콘 태양전지가 1950년대 처음 고안돼 1980년에 광전환 효율이 20%를 넘으며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했다. 광전환 효율은 태양광에너지가 얼마만큼의 전기에너지로 변환됐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 ...
앙리 푸앵카레의 일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사람을 감옥에 가뒀다는 것이 밝혀졌지요.앙리 푸앵카레는 평생 500여
편
의 논문과 30여
편
의 저서를 남기면서 현대수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위대한 수학자예요. ‘푸앵카레의 추측’이라는 100만 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약 11억 원의 상금이 걸린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어요. 푸앵카레는 뛰어난 수학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쏟아지는 태양의 붉은 비명이 눈부셨다. 늙은 세희와 어린 소요의 그림자가 언덕 반대
편
으로 길게 늘어섰다. 세희는 화상 흉터가 가득한 손으로 태양을 가리며 서쪽 하늘을 살폈다. 불규칙하게 깜빡이는 자그만 별 하나가 보였다.“이제 스틱스가 출발할 거야.” 세희가 말했다. “광속의 3분의 1 ... ...
[매스미디어] 분노의 질주 : 더 얼티메이트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90.9mm라고 해. 이때 엔진의 총배기량은 어떻게 될까? (단, π는 3.14로 계산한다.)※
편
집자 주. 기사에 포함된 문제의 답안은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올라갈 예정입니다. 6월 15일까지 비밀댓글로 답을 달아준 사람 중 2 명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얼마면 되니~? 내 마음대로 은행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단위는 나라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돈의 단위가 큰
편
이에요. 우리나라 돈 1만 원이 미국 돈으로는 약 9달러, 유럽연합에서는 약 7.4유로와 같죠. 하지만 돈의 액수가 크더라도 자릿값만 알면 정확하게 읽을 수 있어요. 여러분이 은행원이라고 생각하고 여러 가지 돈의 액수를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4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1년 일본에서 출간된 ‘세계의 미술-한국, 동남아시아
편
’의 석굴암 사진을 맡으며 처음 석굴암 촬영에 발을 디뎠다. 이후 강우방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의 부탁으로 1986년, 2000년 두 차례 더 기회를 얻었다. 특히 마지막 촬영작품은 한 작가가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호모 날레디(Homo naledi)라는 새로운 종명이 붙여졌다.호모 날레디의 몸집은 작은
편
이다. 150cm에 살짝 못 미치는 키는 현생 인류에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몸집이다. 그러나 500cm³ 남짓한 호모 날레디의 두뇌 용량은 현생 인류에서 보기 어렵다. 특히나 이 정도의 몸집과 두뇌 용량이 조합을 이루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