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757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으로 반도체다운 반도체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지금까지 그래핀에서 관찰됐던 것 중 가장 큰 값의 밴드갭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국내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가 그래핀 본연의 특성을 열화시킨 상태에서 나온 만큼 실제로 '그래핀 반도체' 개발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월터 드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 연구팀은 탄화규소 ... ...
제주 바다에서 상반기 우주발사체 또 날아오른다
연합뉴스
l
2024.01.03
이 발사체는 액체 메테인을 연료로 쓰며 인공위성을 탑재할 수 있는 2단 추진체다.
다만
이번에는 시험 발사로 인공위성을 탑재하지 않는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앞서 2021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해안가에서 과학로켓 '블루 웨일0.1'을 3회 시험 발사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것이 그레고리력의 가장 큰 장점이다. 1년 365일을 30일과 31일로 구성된 12달로 구분한다.
다만
2월은 28일로 하고 4년마다 2월에 윤일을 둔다. 장기적으로 태양의 공전주기를 맞추기 위해서 100으로는 나누어지지만, 400으로는 나누어지지 않는 해에는 윤일을 두지 않는다. 그래서 그레고리력의 1년은 ... ...
나무로 만든 세계 첫 풍력 발전 터빈…에너지 생산에 탄소 흡수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1
대량 발생한다. 강철을 나무로 대체하면 그만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낮출 수 있다.
다만
타워에 쓰이는 목재가 나무 자체로 있을 때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을 고려했을 때 과연 친환경적이냐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모드비온은 목재 터빈 타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강철에 비해 약 90% 적은 ... ...
새해 첫날 해돋이 볼 수 있을까? 올해 마지막 날은 대체로 눈·비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전국이 맑을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고기압 가장자리에 드는 동해안과 제주도에는 해수면과 대기의 온도 차 때문에 눈구름대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안에는 너울이 유입돼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을 정도로 높은 물결이 밀려올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대비한다. 그런데 테트로도톡신 역시 나트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작용한다.
다만
포유류와 조류의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표적으로 삼고 무척추동물이나 어류의 단백질에는 붙지 않는다. 천연물의 독성은 내재적 속성이 아니라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속성이라는 말이다. 동물은 ... ...
얇은 필름 쌓은 '풍선 실험실'로, 우주 감마선 정밀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해, 감마선 분석으로 블랙홀의 원리 등을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감마선은 전자기파 스펙트럼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파장이 매우 짧다. 워낙 짧은 파장이어서 직접 관찰하기 힘들기 때문에 천문물리학계는 감마선을 측정하기 위한 특수장비를 개발하는 등 보다 ... ...
상온 초전도체 LK-99 논란…영국 과학자들이 꼽은 올해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3.12.25
선천성 질환, 유산, 보조생식술(IVF)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과학자들은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배아모델도 자연적인 인간 배아와 동일하지는 않다고 전했다 ... ...
북극곰 털 모방한 스웨터, 오리털 재킷보다 얇고 따뜻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우주복처럼 가벼우면서도 내구성 있는 옷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란 의미다.
다만
당장 상용화하기엔 한계가 있다. 에어로겔 섬유를 만드는 과정이 느리고 에너지 집약적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우리는 에어로겔 섬유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 ...
네안데르탈인은 '아침형 인간'이었다…"생체리듬 유전자 이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후손은 새로운 환경에 더 적합한 생체리듬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영국인에게만 한정된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른 인종의 유전자 정보를 연구한 결과 유사한 연결고리가 밝혀질 경우 '아침형 인간'인 고대인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