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는 친환경 로켓 발사
2023.10.21
상상이 실현되는 날이 곧 오지 않을까.
미국
항공
우주국
(NASA)에서 고도 3만 6000km 정지궤도에 설치할 우주 엘리베이터 도착정거장을 상상해 만든 그림이다. NASA 제공 로켓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끝판왕으로 우주 엘리베이터가 있다. 러시아의 우주공학 개척자인 콘스탄틴 치올콥스키가 지극히 ... ...
위성에 의존하던 '산불' 감시, AI로 더 정확하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어려워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한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을 포함한 각국은 산불 탐지를 위해 인공위성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연구팀은 인공위성에만 의존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기상 예보에 쓰이는 수치모델 자료를 융합했다. 상대 습도, 지표면 온도, 위성 관측각 등의 정보를 ... ...
규모 4.7 화성 강진 원인은…"지각 내부 힘 분출"
연합뉴스
l
2023.10.18
6시간 동안 진동이 계속되는 규모 4.7의 강진이
미국
항공우주국
(NASA) 화성 지질탐사선 인사이트호(InSight)에 포착돼 지진 원인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S1222a'로 명명된 이 지진은 운석 충돌로 인한 것으로 알려진 이전 지진과 유사한 패턴을 보여 운석 충돌에 의한 지진으로 추정됐지만 지진 규모가 ... ...
'달 남극 탐사 성공' 인도 "2040년까지 달에 사람 보내겠다"
연합뉴스
l
2023.10.18
물론 민간 기업들도 달 탐사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은 달에 거주가 가능한 우주기지를 건설하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 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내년 중 달 궤도에 유인 비행이 이뤄지고 2025년에는 우주비행사들이 달 남극에 착륙하게 된다. 2028년에는 달에 ... ...
금속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 발사...지구핵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프시케를 묘사한 일러스트레이션.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이 금속으로 된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을 발사했다. 프시케는 현재 관측할 수 있는 유일한 금속성 소행성이다. NASA는 13일(현지시간) 오전 10시 19분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의 최대 규모 로켓인 ‘펠컨 ... ...
45억 살 소행성 ‘베누’, 생명체 위한 물·탄소 풍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12
캡슐이
미국
유타 사막에 떨어졌다.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이 소행성 ‘베누’에서 수집한 '과학적 성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곳에는 물과 탄소가 존재해 생명체 출현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였다. NASA는 11일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의 7년간의 임무 ... ...
러시아 우주정거장, 세번째 냉각제 유출사고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3.10.10
장치의 온도가 정상을 유지했다"고 부연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또한 러시아 우주정거장에서 발생한 사고의 경과를 파악한 뒤 "평소처럼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내부 승무원 7명도 무사하다"고 발표했다. 로스코스모스는 현재 냉각제가 유출된 구체적인 원인을 조사 중이다. ... ...
소행성 탐사는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23.10.08
탐험한다.” 지금으로부터 8년 전인 2015년 9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프시케 미션의 첫발을 뗐다. 2011년 이론 연구를 시작으로 2015년 가을부터는 대규모 연구팀을 꾸려 16 프시케 탐사 계획을 본격적으로 수립하고, 2017년 1월 4일 마침내 소행성 궤도 탐사선 ‘프시케’를 보내 ... ...
[표지로 읽는 과학] 제임스웹이 포착한 어린 별, "태양처럼 성장"
동아사이언스
l
2023.10.07
밝혔다”라고 적혀있다. 표지 그림으로는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JWST로 촬영한 ‘허빅-아로 211’의 근적외선 합성 이미지가 실렸다. 지구에서 약 1000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 자리의 분자 구름에 있는 어린 별에서 양극으로 뿜어져 나온 아름다운 성간 제트다. 톰 레이 아일랜드 트리니티대 ... ...
조승래 “정부·여당 말 뒤집기에 우주
항공
청 불발”...R&D 놓고 견해차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고, 정부와 여당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 등도 직접 R&D를 수행한다는 점을 근거로 직접 R&D가 불가능한 기관이 우주
항공
컨트롤타워를 맡을 수는 없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