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각
시력
과시
나타내기
뉴스
"
보이기
"(으)로 총 58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중 동굴을 향해 공포의 다이빙
팝뉴스
l
2017.10.18
숨이 막힐 정도로 아찔하다. 왜냐하면 여성이 향하는 곳은 끝도 없이 깊은 구멍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저곳에서 빠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보는 사람의 마음은 아슬아슬하다. 사진 속 저 깊은 동굴은 ‘야곱의 우물’이다. 미국 텍사스 윔벌리 북부에 위치해 있는 사철 온천이다. 입구의 지름 3. ... ...
무역 선박-쓰나미 타고 온 외래종, 토종 생물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17.10.13
유발 물질이다. 본래 북아메리카에 자생하던 식물인데 약 3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보이기
시작해 빠르게 전국으로 퍼졌다. 주변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게 하는 물질을 분비해 현재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돼 있다. 이 외에도 가시박이나 뉴트리아, 미국쑥부쟁이, 붉은귀거북 등 20종이 생태계 교란 ... ...
아이폰8에 대해 궁금한 것들
2017.10.11
애플의 아이폰 경험의 완성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10년의 마침표로
보이기
도 하지만 아이폰X과 홈 버튼 사이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무엇인가 안정을 남겨주기 위한 쉼표에 더 가깝다고 봅니다. 그 급격한 변화에 대한 간극이 좁혀지는 시기는 아이폰X이 시장에 풀린 뒤에나 알 수 ... ...
[아름다운 해외 풍경] 잔잔한 바다와 오로라
팝뉴스
l
2017.10.03
바다는 고요하다. 마치 얼어붙은 것처럼 보인다. 또는 마법에 걸려 시간이 멈춘 것처럼
보이기
도 한다. 그런데 이 사진은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지자기 폭풍(geomagnetic storm)’이다. 태양의 변덕스러운 활동 덕분에 지구에 나타난 오로라가 수평선 위에 펼쳐져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규모의 세계다. 머리카락 두께의 100분의 1 수준인 마이크로 세계보다 1000배 더 작다. 눈에
보이기
는커녕 존재하는지도 알 수 없는 세계를 봐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원자나 분자 같은 물질의 기본 단위 수준을 관찰할 수 있다면 그 다음에는 그 크기에서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육종민 KAIST ... ...
LA 매혹적인 도시 사진
팝뉴스
l
2017.09.19
예술작품 같기도 하고, 바다와 도시가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L.A.의 전형적인 자화상처럼
보이기
도 한다. L.A.의 숨겨진 모습 중 하나는 심지어 술탄의 할렘에서 오달리스크들이 쉬고 있는 아랍의 오아시스 같은 느낌이다. 그는 자신이 사진작가 앤젤 애덤스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 ...
섬세한 예술가의 스케치북 ‘감탄’
팝뉴스
l
2017.09.17
고풍스러운 펜필체와 어울려서 고가(古家)에서 발굴된 수백년 전 화가의 연습장처럼
보이기
도 한다. 실제로 일부 그림에서 스케치북에 그려진 다빈치나 라파엘의 드로잉을 떠올리는 독자가 많을 것이다. 놀랍게도 이런 솜씨를 지닌 엘레나양의 장래희망은 아티스트가 아니다. 그녀는 앞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천변의 많은 식물들이 나팔꽃 덩굴 등쌀에 숨막혀하는 모습처럼
보이기
도 한다. 담장에 예쁘게 피어있는 다소곳한 나팔꽃 이미지와는 거리가 좀 느껴진다. 집에 와서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이 남편 서민환 국립환경연구원 연구관과 함께 쓴 ‘어린이가 정말 알아야 할 ... ...
[타보니] 테슬라 모델S, 오토파일럿으로 달려 봤습니다
2017.08.16
있는 듯 합니다. 탁 트이고 변화가 드문 미국의 외곽 고속도로를 달리기에는 아주 훌륭해
보이기
도 합니다. 자율주행에 대한 소식을 접하기 시작한 게 이제 5년즈음 됐을까요? 업무적으로도 관련 소식을 자주 접했고, 올 초 엔비디아의 완전 자율주행 차량을 타보기도 했지만 아직도 피부로 와 ... ...
중성미자 결맞음 상호작용, 드디어 관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현상이 관측되면서 질량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질량이 있는 입자만이 진동 현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성미자의 진동이 원자핵에 있는 중성자나 양성자 같은 핵자와 파동이 맞을 때 진동이 크게 증폭된다. 이 현상을 ‘결맞음 상호작용’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중성미자를 관측하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