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세포
사멸
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피리어드1이라는 유전자는 세포
사멸
을 촉진하는데 암조직에서는 발현이 떨어져있다. 피리어드2도 종양억제 기능을 하는데 유방암 조직에서 발현이 떨어져 있거나 심지어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시차를 한 차례만 겪어도 ... ...
암 전이 일어나는 이유 드디어 밝혀져
2014.09.02
전이가 나타났다. 컴플렉스Ⅰ 효소가 변형된 경우 '세포
사멸
억제 단백질(Bcl-w)'이 '세포
사멸
유도 단백질(Bax)'에 결합하여 Bax를 컴플렉스Ⅰ로 부터 분리시킨다. 결국, Bax의 방해가 없어진 컴플렉스Ⅰ 효소가 활성산소(ROS)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암 전이가 촉진된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엄 ... ...
86세 노인 피부세포로 신경세포 제조
2014.08.08
척추에 줄기세포로 만든 신경세포를 이식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지만 모두 세포가
사멸
해 실패했다. 이식한 신경세포가 끊어진 신경을 뇌까지 연결된 것은 최초이지만 아쉽게도 쥐가 팔다리를 다시 움직이지는 못했다. 연구팀은 “늙은 남성의 피부세포로 만든 줄기세포가 긴 신경세포가 된 ... ...
담뱃잎에서 찾은 치매 치료제 임상 돌입
과학동아
l
2014.07.28
치매에 효과적인 천연단백질을 발견하고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세포
사멸
과 질병(Cell death and disease)’에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당시 동물실험 결과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한 쥐에게 이 천연단백질을 투여하자 퇴행성 뇌질환의 진행이 예방되는 것은 물론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말단)의 한쪽 나선의 손상을 인식하는 단백질인 ‘ATR’로부터 신호를 받고, 신경세포의
사멸
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경세포가 일부 손상을 입으면 더 이상 큰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쪽 끝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ATM이 DNA의 이중나선이 지나치게 꼬이지 않게 만드는 효소가 제 ... ...
천식치료제, 소음성 난청 예방에 효과
과학동아
l
2014.06.24
박상면 아주대 의대 교수팀은 “천식치료제 ‘몬테루카스트’가 청각세포의
사멸
을 막아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23일 밝혔다. 그간 소음성 난청은 시끄러운 작업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근로자들의 ‘직업병’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 ...
세포의 생사 가르는 활성산소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08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ERK’ 단백질을 활성화하지만 활성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세포
사멸
에 관여하는 ‘JN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절한 환경에서는 ERK를 활성화시켜 세포 분열을 유도하지만 스트레스가 과도한 환경에서는 JNK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분열을 멈추고 세포가 ...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8
결핵균에 감염된 생쥐의 세포에 특정 화합물을 처리해 자가포식을 유도하자 결핵균이
사멸
되기 시작했다고 28일 밝혔다. 자가포식은 세포가 자신의 단백질 덩어리나 소기관 등을 파괴해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활동을 말한다. 결핵 치료는 보통 결핵균 자체를 표적으로 삼는 항결핵제를 통해 ... ...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열었다
과학동아
l
2014.04.10
- KIST 제공 연구팀이 신경세포에 이 물질을 투여하자 신경세포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도
사멸
하지 않았다. 물질에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또 파킨슨병을 앓던 쥐가 이 물질을 복용하자 운동능력을 회복했다. 모퉁이를 돌 때 12초가 걸린 쥐가 물질을 먹은 ... ...
유방암 걸리면 뇌졸중 걸리기 쉽다는데, 도대체 왜?
과학동아
l
2014.04.09
돌연변이로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뇌(아래). 녹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세포가 '자살'해
사멸
한 부분이다. - PNAS 제공 연구팀은 추가 실험을 통해 p53 단백질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했다. 브라카 유전자와 p53 단백질이 모두 없는 쥐를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뇌에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