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文대통령, KIST에서 이례적 국무회의 개최…신산업 중요성 강조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관련 최근 출연연구기관 연구성과 전시물도 살펴봤다. KIST의 연구성과인
실리콘
반도체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반도체와 수소경제 실현을 앞당길 탄소복합소재 등을 비롯해 화학연구원의 차세대 에너지소자용 불화-폴리머, 재료연구소의 폴더블 스마트기기용 유연타이타늄 신금속 등이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송석호 한양대 교수...신개념 광소자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에너지 전달이 가능해지는 원리를 규명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광다이오드를
실리콘
웨이퍼 상에 집적화된 소자 형태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018년 10월 게재됐다. 송석호 교수는 “기존 나노광학의 한계를 극복한 신개념 광소자는 앞으로 차세대 ... ...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초고속 반도체의 꿈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공개하면서 다시 연구에 속도가 붙었다. 2016년에는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연구팀이
실리콘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1.9배 뛰어넘는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개발한 데 이어 2017년에는 중국 베이징대 연구팀이 선폭 5nm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양산하려면 ... ...
구불구불 뇌혈관 속도 다니는 실지렁이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FDA) 승인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연성 연속체 마이크로로봇이
실리콘
으로 만든 모사 뇌 혈관을 지나는 실험 모습. 사이언스 로보틱스 ... ...
전기차 배터리 용량 늘릴 새 음극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해석과 실제 실험적 관찰이 통합된 융합연구 결과”라며 “
실리콘
기반 음극소재가 적용된 리튬이온전지가 앞으로 전기차 핵심 부품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나노'에 게재됐다 ... ...
황폐기물 처리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황과 파라-디아이오도벤젠의 단위 분자를 고온에서 녹여 합성할 때(용융중합법)
실리콘
오일을 소량 첨가해 황 함량을 조절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황 고분자의 신축성을 150~300%까지 조절하는 것은 물론 자외선을 이용한 자가 치유, 재가공 특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했다. 새로운 ... ...
행복 호르몬 냄새 맡는 '인공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감지할 수 있는 수용체 단백질을 심었다. 그리고
실리콘
기판 위에 0.008mm 크기의 미세한 구멍 수만 개를 뚫어 각각의 구멍 위에 GUV를 설치했다. 그 결과 GUV가 터지거나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기존보다 5배 이상 긴 5일 이상 작동되며 세로토닌을 감지했을 때 전류를 ... ...
화석연료 비중 높은 中, 태양광 발전비용 더 싸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기존 태양전지의 최고효율은 26.7%다. 서장원 책임연구원은 “이번 화학연과 MIT의 연구로
실리콘
전지가 고가의 공정으로 달성한 최고효율과의 차이를 1%대로 줄였다”며 “상용화 가능성을 상당히 높였다”고 말했다. ... ...
韓美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최고효율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전류를 증대시켜 얻은 결과”이라며 “앞으로 태양전지의 전류를 더 상승시키면 충분히
실리콘
태양전지의 26%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 연구원은 “이번에 기록한 25.2% 효율은 저렴한 용액기술 공정을 도입해 달성한 것”이라며 “이는 상용화 가능성을 상당히 높인 ... ...
‘무어의 법칙’ 뛰어넘는 분자컴퓨팅 실용화 단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거론된다. 분자를 반도체 회로의 최소 단위로 이용하는 분자컴퓨팅은 기존
실리콘
반도체 대비 집적도를 수천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장성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은 분자컴퓨팅 실용화에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