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스페셜
"
모습
"(으)로 총 2,6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문일답]우리은하 블랙홀 관측 "다음엔 한국 KVN도 참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EHT)’ 국제공동연구팀이 12일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궁수자리 A 블랙홀의
모습
을 공개했다. 2019년 공개한 M87 블랙홀에 이어 두 번째 관측결과다. 이번 블랙홀 영상 제작에는 전 세계 8곳의 전파망원경이 직접 관측에 참여했고 한국은 관측 자료를 검증하는 역할을 했다. EHT가 관측망을 더욱 늘려 ... ...
M87 블랙홀에 이어 관측된 우리은하 블랙홀, 왜 똑같은 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 그러나 두 블랙홀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예측되는 블랙홀의
모습
을 그대로 보이는 것으로 이번 관측에서 입증됐다. 아인슈타인은 중력과 시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을 내놓으며 충분히 밀집된 질량이 있으면 시공을 뒤틀어 빛도 빠져나갈 수 없는 블랙홀을 ... ...
23일부터 입국 때 신속항원검사도 인정…입국 후 검사 의무도 2회→1회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지난 4일 여행객들로 가득한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의
모습
이다. 연합뉴스 제공 이달 23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확인서외에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음성확인서로도 입국이 가능해진다. 또 내달 1일부터는 입국 ... ...
나이든 쥐에 젊은 쥐 뇌척수액 넣었더니 기억력 돌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결과 젊은 쥐의 뇌척수액을 이식받은 쥐는 약 40%가 공포기억을 통해 몸이 바짝 얼어붙는
모습
을 보인 반면 대조군 쥐의 경우 18%만 공포기억 반응을 보였다. 연구를 주도한 토니 와이스 코레이 미국 스탠퍼드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젊은 뇌척수액이 노화로 인해 감퇴된 기억력을 ... ...
[과학게시판]지질연·합천군, 합천운석충돌구 관광자원화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최초 운석충돌구인 적층-초계분지의
모습
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경남 합천군과 11일 합천군청에서 합천운석충돌구 적중-초계분지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합천운석충돌구는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로 직경 7km의 그릇 모양 지형이다. ... ...
체중 500g으로 태어난 하진이의 기적
동아사이언스
l
2022.05.10
사진은 하진이의 생후 2주차
모습
이며, 오른쪽은 현재 체중 6㎏으로 건강하게 성장한
모습
이다. 서울성모병원 제공 지난해 7월 체중 500g로 태어난 초극소 미숙아가 5번의 수술과 300일의 입원을 견뎌내고 최근 건강하게 병원 밖을 나섰다. 이 아기의 생존 가능성은 20%도 채 되지 않았다. ... ...
꽃향기 확산, 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0
뿜어내는지 직접 알 수가 없었다”며 “이번 측정 기술은 실시간으로 꽃향기가 퍼지는
모습
을 포착할 수 있어 꽃향기 합성 과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고 화분매개곤충과 상호작용을 통한 꽃향기 물질 진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실제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 ...
"식당들 한 배달 플랫폼 종속되지 않아야 배달 산업 발전" 한·중·영 비교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지난해 8월 서울의 한 배달전문 카페에 배달주문이 잔뜩 들어온
모습
이다. 동아일보 제공 배달 산업이 발전하려면 식당들이 하나의 거대 배달 플랫폼에 종속되는 상황에서 벗어나야 소비자, 식당, 배달 노동자들이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는 비교 분석 ... ...
지구에 10마리도 안 남은 바키타 돌고래, 불법 어망만 없다면 희망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확률은 34%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캘리포니아만에서 발견된 바키타돌고래의
모습
이다. 미국해양대기청(NOAA) 제공 개체수 자체가 처음부터 적다 보니 이미 개체군에서 근친교배를 진행하면서 해로운 돌연변이가 어느 정도 제거됐다는 분석이다. 로빈슨 박사후연구원은 “바키타 돌고래는 ... ...
2020년 러시아 덮친 역대급 더운 겨울의 원인은 인류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지난 2020년 1월 기상관측 140년 역사상 가장 높은 겨울철 기온이 발생한 모스크바의
모습
이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 2019~2020년 겨울 러시아 서북 지역은 100여년 만에 가장 덥고 습했다. 이 지역의 겨울철 날씨는 한국을 포함한 유라시아 지역의 봄·여름 날씨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탓에 기상학자들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