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스페셜
"
용량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가설했는데 16촉짜리 전등 750개를 킬 수 있었고 1894년 창덕궁에 설치되었을 때 발전
용량
은 경복궁 시설보다 세 배나 컸다. 이 전등에는 많은 별명이 붙었는데 툭하면 꺼지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게 꼭 건달을 닮았다고 해서 ‘건달불(乾達火)’이라고 했다. 또한 발전기 가동으로 연못의 수온이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드마니시 화석 연구자들의 결론에 반대한다며,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에렉투스는 두개골
용량
외에도 신체 여러 곳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즉 속귀의 모양과 크기(자세에 중요한 역할을 함), 손과 발의 특징 등이 꽤 다르다는 것. 여기서 더 나아가 우드는 “호모 하빌리스가 호모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여러 기억 사이의 경쟁의 결과 밀려난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즉 뇌의 기억
용량
이 제한돼 있다는 말이다. 이 두 모형은 망각을 수동적인 현상으로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학술지 ‘셀’ 최근호에는 예쁜꼬마선충의 망각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이에 따르면 무사시라는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
KISTI
l
2013.12.19
정도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휴대전화도 대역폭 확보가 중요하다. 고
용량
사진, 동영상 등을 주고받아야 하는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데이터 요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파수는 어떻게 배분하는 걸까. 나라마다 주파수별로 다양한 전파기기를 ... ...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디지털 카메라까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1
할 필요도 없다. 대신 경치나 인물 등 피사체에 빠져 정신없이 사진을 찍다가 데이터
용량
이 넘지 않을까, 배터리가 떨어지지 않을까를 걱정한다. 이 모두가 디지털 카메라에 들어 있는 이미지 센서 '덕분'이다. 웬만한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돼 있는 이미지 센서는 흔히 CCD(Charge-Coupled Device)라 부르는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상용화되려면 인체 내에서 수 백 번 플래시를 터뜨리면서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충전
용량
이 충분하면서도 매우 작은 크기의 전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 전지를 개발하려면 앞에서 발한 바텀업 나노 원천기술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나노기술을 통한 신시장 창출의 맥이 있는 것입니다 ... ...
박테리아 이용한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합성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공정이 간단한 점도 장점이다. 합성된 코발트 산화물 분말은 슈퍼커패시터의 축전
용량
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박테리아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 분말 입자들 사이의 미세기공 덕분에 전해질 내 이온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에너지저장밀도가 높아지기 ... ...
딱딱한 세상을 부드러움으로 바꾼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7.11
인간 친화성 강조로 패러다임 전환 조 단장은 "지금까지 전자기기들이 속도와
용량
, 성능을 두고 경쟁했다면 앞으로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착용감을 중시하는 인간친화적인 기술에 대한 경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딱딱한 실리콘 재질로 이뤄진 전자기기는 서서히 기술의 한계에 다다르고 ... ...
10년 후 우리사회를 바꿔 놓을 만한 미래기술은?
KOITA
l
2013.07.10
때문에 리튬이온전지보다 무게가 훨씬 가볍다. 가솔린에 버금가는 이론적 에너지
용량
과 가벼운 양극 덕분에 전기자동차에 활용될 경우 한 번 충전에 주행거리가 약 500km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의 전기자동차 시장만 고려해도 산업적으로 큰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 ...
ETRI, SW형 고품질 영상회의 기술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5
관람객들로부터 호평 받은바 있다. 기존 영상회의 시스템은 중앙집중형 방식이라서 서버
용량
을 벗어나면 트래픽이 심해져 서비스가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를 밀집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장소별로 클라우드 형태의 서버(처리장치)를 분산배치 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즉 트래픽이 집중되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