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환자에게 전기 자극을 줬더니 환자가 팔을 뻗을 수 있었다.하지만 델가도 교수의 이런
실험
이 사회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었던 건 아니었다. 뉴욕 타임즈 매거진은 델가도 교수를 “사람의 뇌를 마음대로 조종하려는 미친 과학자”로 보도했다. 예일대도 그의 연구를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모집할 예정이다.김동건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사업단 단장은 “아이들이 다양한
실험
을 통해 과학이 얼마나 재밌는지 알 수 있고 대학생들은 지식을 나누는 기쁨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또 김 단장은 “이 행사가 더 유익하고 보람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나와요. 창의성도 소통이 필요한 거죠. 물론 나만의 사색도 없어서는 안 돼요.”그는
실험
실에 있는 대학원생들에게도 섣불리 답을 제시하지 않으려 애쓴다고 말했다. “교수가 참아야 돼요. 아무리 답답해도. 그리고 창의성은 답을 찾는 게 반, 문제를 찾는 게 반이예요. 무엇을 할지 모르는 게 ... ...
국산 수학교구, 미국 최대 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주목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만든 다면체를 비눗물에 담갔다 꺼내 다면체에 생기는 비누거품 막을 관찰하는
실험
이다.컨퍼런스 마지막 날 박 소장은 강연 중에 수학교육자 40명과 클라인병 모형을 만들었다. 클라인병은 병의 안과 밖을 구별할 수 없는병으로 독일의 수학자 펠릭스 클라인이 고안했다.수학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 ...
소통하는 영재의 산실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중요한 시대에 부엌에 숨은 과학을 찾아보고, 식품첨가물을 공부한 뒤 직접 분리하는
실험
도 같은 맥락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창의성 위에 사회에 대한 책임 그리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쳐 다음 세대의 리더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
파마약 도전정신으로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었어요. 이 문제를 학생들에게 해결해보라고 내준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실험
실에 가니 이상한 냄새가 나는 거예요. 한 학생이 엉킨 분자 구조를 펴겠다고 머리카락을 펴는 파마약을 넣었던 거예요. 주변 학생들이 웃고 난리도 아니었습니다.”당연히 이 교수가 학생을 나무랄 줄 ... ...
CO2가 피운 눈꽃, 드라이아이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증발이 일어나면서 온도가 낮아져 금속통 내부의 액체가 얼어붙어 고체가 됐다. 이것이
실험
실에서 만든 최초의 드라이아이스이다.요즘의 드라이아이스 제조 방법도 이와 비슷하다. 63기압 정도로 기체를 압축한 뒤 작은 노즐로 이산화탄소를 분사시키면 눈꽃 같은 고체 이산화탄소를 얻을 수 있다.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있으면 됩니다. 우선 충분한 관찰을 해봅시다. 처음에 주어진 사탕의 개수에 따라 많은
실험
을 해보면 문제의 결과는 항상 성립하는데, 모든 아이가 같은 수의 사탕을 갖게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수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사탕을 가진 아이의 사탕의 개수를 2M, 가장 적은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과제에 선정된 국내외 화학자들은 실적보고에 대한 부담 없이 마음껏 아이디어를
실험
할 수 있습니다. 두 분은 화학자로 평생을 보내셨습니다. 가장 존경하는 화학자는 누구입니까.김 초대 KAIST 원장을 지내신 이태규 박사와 ‘비날론’을 개발한 이승기 박사입니다. 국내 1호 화학박사인 이태규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드미트리 벨라예프는 이를 증명해 보기로 했다. 그는 야생 쥐를 잡아다 무작위로 두개의
실험
실에 분리시켰다. 한 그룹에서는 계속 온순한 쥐만 골랐고 다른 그룹에서는 공격적인 쥐만 번식시켰다. 30년 뒤 두 그룹의 성격은 전혀 달라졌다. 공격적인 쥐는 야생 쥐와 차이가 없었지만 온순한 쥐는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