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정확성
d라이브러리
"
정확도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숲은 한국인에게 친숙한 자연이다. 국토 3분의 2가 산이고, 산이 있는 곳에는 숲이 있으니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숲이다. 또한 마음만 먹으면 찾을 수 있는 곳이기에 우리는 정서적으로 숲에 대한 느낌이 매우 많다. 그래서 예로부터 숲을 노래하고 그림으로 그리고, 시로도 읊어 ... ...
1. 진화론의 전주곡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지난 10월 2일은 찰스 다윈(1809-1882)이 5년 간에 걸친 비글호 항해를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온지 1백62주년 되는 날이었다.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는 종만이 살아남아 발전한다”는 적자생존의 원리를 바탕으로 다윈이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을 1859년에 출판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1994년 4월 26일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FermiLab)는 자연에 존재하는 마지막 소립자인 톱쿼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톱쿼크는 1988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5천6백억eV의 에너지를 가진 양성자-반양성자 충돌기를 이용했으나 탐색에 실패했던 것. 이를 비웃듯 페르미연구소에서는 1조8천 ... ...
3. 1998년 노벨상 : 신물질의 성질 컴퓨터가 알아준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2-3년마다 새로운 이론과 계산 방법을 보완한 가우시안을 공개해왔다. 이제는 그 계산의
정확도
가 실험을 넘어설 정도가 됐고, 단순히 분자의 성질뿐만 아니라 화학반응의 과정과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무상으로 공개하던 포플의 프로그램도 이제는 상품화가 ... ...
4. 자연법칙에 반하는 공중부양, 반중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영화 ET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주인공 어린이와 ET가 자전거를 타고 보름달을 배경으로 하늘을 나는 순간일 것이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상식이 조금만 있는 사람은 자전거를 타고 하늘을 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중력 때문이다.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열기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한국인의 문화적 자존심은 선조들이 만든 인쇄물에서 찾을 수 있다.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751년)이 그러하고 구텐베르크보다 70여년 앞서 금속활자로 찍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줄여서 직지, 1377년)도 그렇다. 지난 1천년 간 가장 위대한 발명 또는 ... ...
지구 최초 육지 식물은 우산이끼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최초로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온 식물은 우산이끼. 네이처지 8월 13일자에 따르면 깊은 산속에 사는 작고 뿌리가 없는 우산이끼가 처음으로 육지에 정착했다. 우산이끼는 오래 전부터 육지를 푸르게 한 개척자로 지목돼왔다. 그러나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정확하게는 화석 발견이 어려워) 그 사실을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1989년 12월5일 이라크는 타뮤즈 로켓을 이용해 45kg의 인공위성을 발사했으나 궤도 진입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그로부터 9년 남짓한 세월이 흐른 지난 8월31일 북한은 대포동1호 로켓을 이용해 인공위성(광명성1호, 무게 미상)을 발사했으나, 마찬가지로 궤도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과 이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지난 4월 19일 버지니아주에 사는 6살 난 마이키 워커는 NASA로부터 값진 선물을 받았다. 그는 태양광선을 조금만 쬐어도 피부에 물집이 생기고 신경계가 마비되고 복통이 일어나는 선천성 포르피린병이란 고약한 병을 앓고 있었다. 그리 밝지 않은 40와트의 전구빛도 그에게는 치명적이었다. 그래서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집합과 명제’라는 단원을 배우게 된다. 이 단원은 중등교육 이상의 수학 과목에서 늘 첫단원을 장식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 그것은 수학의 따분한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처럼, 수학이란 ‘인생을 사는데 아무 쓸모 없는 탁상공론’이라는 오해의 출발점이 되기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