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11
섭취를 금지했다. 실험 당일
1
초 간격으로 지나가는 20개 단어를 최대한 많이 외우게 하고
1
분 후 몇 개의 단어를 외웠는지 파악했다. 이후
1
5명에게는 에너지드링크(250ml)를,
1
5명에게는 비타민음료(250ml)를 마시게 했다(물론 피실험자는 자신이 무엇을 마셨는지 모르게 한 채). 30분 후 앞선 단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11
그리고 라운드업 제초제만 사용한 세 집단의 옥수수를 준비한 뒤 실험용 쥐 암수 각각
1
0마리에게 2년 동안 먹이고 건강 상태를 관찰했다. GMO 비율도 3단계로 세분했다. 그 결과 GMO를 먹인 암컷 쥐는 GMO를 먹이지 않은 쥐에 비해 사망률이 2~3배 높았고 수명도 짧았다. 수컷 쥐 일부에서도 비슷한 ... ...
‘불산’ 무섭지만 버릴 수 없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11
몸에는 불소이온 또는 그 염의 형태로 불소가 꽤 존재한다. 혈액의 불소 농도는 0.5ppm(
1
ppm은
1
00만 분의
1
) 정도이고 연조직은 0.05ppm 정도 된다. 뼈에는 무려 200~
1
200ppm. 우리 몸의 불소를 다 합치면 3~6g이나 된다.이게 웬일인가 싶겠지만 우리 몸이 건강하려면 소량의 불소가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11
사람을 원자 단위로 분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또 원자
1
개를 보낼 수 있는 현 기술이 사람 몸속에 있는 수많은 원자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려면 아주 먼 미래가 돼야 한다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11
원시행성일 가능성이 높았다.이를 확인하기 위해 2007년 미국이 발사한 탐사선 던은
1
년 정도 베스타 주위를 돌면서 관측했다. 그 결과 베스타가 지구형 원시행성이라는 가설을 확인했다. 달이나 다른 지구형 행성을 탐사할 때 구성 성분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었던 것과 달리 베스타 탐사는 HED 운석 ... ...
깨끗한 지구 만드는 촉매홀릭
과학동아
l
201211
유발하는 개질기를 부착해 수소를 제조하는 게 기본이다. 연구실에는 실물의
1
000분의
1
크기인 수소 제조 개질기와 파이프라인 등을 갖추고 있다. 쓸모없고 유해한 물질에 새 생명을 송 교수 연구실은 자부심이 대단하다. 촉매 반응을 연구하면서 무슨 자부심인지 되물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연구실은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11
때문에 공학을 선택하지 않았다면서 ‘경제 동아리’라니 한방 맞은 느낌이었다.“사실
1
학년 때 선택한 동아리에요. 정말 그냥 하고 싶어서 했어요. 주로 재래시장 살리기 활동을 했어요. 재래시장에서 물건을 사온 후에 그것을 되팔았어요. 사기 전에 무엇을 얼마나 살지, 예산을 잡고 적당한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11
저장했다가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그의 연구소의 윌리엄 딕슨이
1
89
1
년 키네토그래프라는 카메라를 만들죠. 영상은 키네토스코프를 통해 볼수 있었답니다. 한 사람이 렌즈를 통해 신기한 장면을 볼수 있는 장치였죠. 영상은 에디슨 회사 직원들이 바이올린 연주에 맞춰 포크댄스를 ... ...
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11
얼굴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여우야 여우야 같이 살자Part
1
. 응답하라 백두여우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Part 3. 잡놈을 복원하라Part 4. 우리 함께 살 수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11
한중일 3국이 교류하는 것도 녹록치 않은 게 현실이다.김민규 충남대 수의과대 교수는 20
11
년 말 현재 복원중인 따오기의 알 껍질에서 성별과 관련된 유전자를 분석해 알 상태에서 따오기의 성을 감별하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의 연구는 우리나라 따오기를 중국, 일본 따오기와 손쉽게 교류할 수 있는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