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오븐 안에서 야금야금 숨만 쉬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 심리학자들은 이렇게 손가락 하나 까딱할 수 없는 무기력함의 원인을 크게 에너지 고갈, 동기 부족, 자신감 부족, 통제감 부족으로 꼽는다.정말로 하고 싶은 일인가?사람은 ‘에너지’적 존재다. 한정된 에너지를 몸도, 머리도 써야 한다.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훨씬 더 작아지니까요. 그런데 이렇게 했더니 암과 관련된 유전자라고 밝혀지는 게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 경우는 제1종 오류와 반대로 특정 유전자가 암과 관련성이 있는데도 없다고 오류(제2종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지요. 유전학자는 대개 막대한 비용을 투자받아서 연구하는데 연구 성과가 ...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비중이 다르다. 금속마다 비중이 다르다는 성질을 이용해 실험을 해보면 10원짜리 동전 하나에 들어 있는 구리와 아연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합금인 10원짜리 동전 속 두 금속의 비율을 계산해보며 아르키메데스가 생각해낸 부력의 원리를 생각해보자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계의 인간-되기, 생명의 기계-되기라고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짚는다. 인간 안에 기계를 심고, 몸의 일부를 인공물로 대체하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다. 이제는 인간이 기계-되기를 실현하고 있고, 이런 상호적인 ‘되기’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어 ... ...
- [과학뉴스]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정된 행동으로만 실험을 해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관찰 결과 아기들은 단 하나의 행동도 정확히 따라하지 못했다. 슬로터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아기를 대하는 어른의 행동을 정확하게 통제하지 않은 채 아기의 반응만을 관찰했다”며 “어쩌면 아기는 부모가 기뻐하거나 손가락으로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나만 더 만들면 되는 차이”라고 말했다. 루팅이나 탈옥을 한 스마트폰은 스스로 차선 하나를 만든 셈이기 때문에 스파이앱이 활동하기가 더 수월하다.하지만 아이폰이 더 안전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해킹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어려운 만큼 백신 프로그램도 실행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네 마리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실험을 했다. 터치스크린에는 붉은색 세모 모양 하나와 푸른색 원 모양 두 개가 나왔는데, 거북은 붉은색 세모 또는 왼쪽에 위치한 푸른색 원을 선택해야 달콤한 딸기를 먹을 수 있었다.아니나 다를까 네 마리의 거북은 모두 딸기를 먹는 방법을 금세 터득했다. 그런데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전자 의수도 못하게 만들어야 해요.”(최영진 교수)로봇 팔이 이와 같이 설계된 건, 모터 하나만으로 문고리를 돌리는 등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를 사람 팔에 그대로 붙인 탓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얘기다. 인간의 손목은 로봇 팔과 달리 회전이 불가능하다(한쪽 손으로 다른 쪽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말합니다.인공지능이 간지럼 배운다!간지럼은 단순한 촉감도, 귀찮은 행동 중 하나도 아닙니다. 이를 연구하는 것 또한 한낱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그치는 것은 아니죠. 최근 들어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간지럼을 비롯해 사람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개발에 기여했답니다.역시 과학의 힘은 놀라워~! 100년 전 중력파는 그저 내가 주장한 하나의 개념이었어. 하지만 지금은 실제로 중력파를 검출해낼 수 있게 됐잖아! 그렇다면 앞으로 중력파는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있을까?중력파를 발견해내기까지1955년 미국의 물리학자 조세프 웨버는 ...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