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 60개大 선정
동아일보
l
2015.07.21
등 전문 인력의 확보 여부, 대입전형 간소화 노력 정도 등도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했다. 지난해 시작된 이 사업은 대학 입시에서 학교생활기록부의 비중을 높여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을 억제하려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이은택 기자 nabi@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효소 하나 때문에 수명 18% 늘거나 39% 줄거나
2015.07.21
HEL-1이 인슐린 신호 조절에
작용
하며, 특히 FOXO라는 수명연장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상호
작용
한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 또 HEL-1이 신체 일부의 수명에만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졌다. 이 효소는 신경과 장 조직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근육과 피부 조직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남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성형수술이 될 것이다) 외부 장치를 붙인다는 전략이다. ● 스프링이 보조 근육으로
작용
학술지 ‘네이처’ 6월 11일자에는 보행효율(정확히는 대사에너지)을 7% 개선한 무동력발목외골격(unpowered ankle exoskeleton)을 개발하는데 마침내 성공했다는 미국 카네기멜론대와 노스캐롤라이나대 ... ...
원하는 대로 설계하고 만드는 제올라이트
2015.07.16
‘네이처’ 1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제올라이트는 세탁용 세제를 만들 때 세정
작용
을 돕는 보조제로 넣거나 석유로부터 자동차 연료인 가솔린을 뽑아내는 데 촉매로 많이 쓰이는 물질이다. 실리콘과 알루미늄 원자가 산소 원자와 정사면체 구조를 이루며 결합된 제올라이트는 무수히 뚫려있는 ... ...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5년 안에 어떤 로봇이 나올지는 도저히 모르겠다”면서도 “청소로봇처럼 사람과의 상호
작용
이 단순한 로봇이 먼저 각광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로봇을 영화 속 모습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돼요. 휴보가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죠. 요즘 유행하는 사물인터넷이라는 말처럼 모든 사물 안에 로봇의 ... ...
값싸고 성능 좋은 ‘꿈의 촉매’ 개발
2015.07.08
물을 분해해서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극에 적용한 결과 인과 코발트가 상호
작용
하면서 전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연구진이 개발한 인화코발트 촉매는 이리듐 촉매와 비슷한 조건에서 같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며 12시간 동안 물분해를 시켜도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이석우 선임연구원(왼쪽)과 이현욱 박사후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원들이 리튬이온전지의 ...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러 개의 나노기둥이 있을 때 입자간의 상호
작용
이 발생해 구조가 파괴되지 않았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이야기하는 ‘놀라운 가설’은 인간의 의식이 머릿속 뉴런(신경세포) 덩어리, 즉 상호
작용
하는 수많은 뉴런 집합의 움직임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연구를 통해 얻은 중간 결과를 내놓는 데 그치지 않고 후배 과학자들에게 의식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룰 것을 매우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두 마이크로RNA는 핵심 염기서열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간에게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
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 연구원은 “사람의 miRNA-9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뒤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비만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가능성이 열렸다”며 “마이크로RNA는 혈액에도 녹아 ... ...
달달한 장미향 만드는 효소는?
2015.07.03
연구진이 이 단백질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장미에서 모노테르펜류가 합성될 때 효소로
작용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곽준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식물노화·수명연구단 그룹리더)는 “그간 장미는 꽃의 색깔 등 관상학적인 면에 치중해 육종하면서 향이 많이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