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원판이 세 개의 기둥을 오가는 과정이 계속 반복되고요.이런 식으로 반복되는 과정을
이용
하면 2n-1이라는 식을 구할 수 있어요. 이처럼 재귀 알고리즘을 만들면 복잡해 보이는 문제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답니다.그렇다면 하노이의 탑을 모두 옮기는 데 필요한 횟수는 몇 번일까요? n이 64개니까 ... ...
Part 2. 바닷속에서 유물을 발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이를 방지하게 위해 잠수사들은 제토 호스를 함께 사용해요. 제토 호스는 흡입펌프를
이용
해 흙과 물을 함께 빨아들이는 장비예요. 배 위에 있는 모터가 돌아가면서 바닷속의 흙과 물을 바다 위로 끌어올리면 유물을 수월하게 꺼낼 수 있답니다.* 개흙 : 갯벌을 이루는 거무스름하고 미끈미끈한 ... ...
Part 4. 누리안호를 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우리 역사를 공부하는 데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분야예요. 비행기가 없던 과거에는 배를
이용
한 교역과 이동이 활발했고, 바다에서의 전쟁도 많이 일어났거든요.Q. 수중 탐사로봇 ‘크랩스터’도 쓰나요?진도 앞바다는 조류가 빠르기 때문에 수중 탐사로봇을 쓸 수 없어요. 스스로 중심을 잡는 것도 ... ...
Part 1. 때와 장소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조금’이 때다!진도 앞바다는 조류가 매우 빠른 곳이에요. 그래서 조류의 속도가 가장 느려지는 ‘조금’일 때에만 유물을 발굴할 수 있어 ... 층층이 쌓여 땅 속에 묻히거든요. 그래서 음파와 자기장을
이용
한 장비나 금속 탐지기를
이용
해 바다 밑 땅 속에 숨어 있는 유물을 찾는답니다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된 뒤에도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방사능 탄소연대 측정법을
이용
해요. 동물이나 식물의 조직 안에는 C14라는 방사선 원소가 들어 있어요. 이 원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방사선을 방출하고 그 수가 점점 줄어들지요. 이 과정은 동물이나 식물이 호흡을 멈추면 함께 멈춰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양성자 치료 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암세포만 정확히 없앨 수 있는 거예요. 이번 취재를 통해 양성자 치료는 물론 과학을
이용
해 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의학물리학자라는 직업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어요. 앞으로 양성자 치료가 더욱더 발전되어 암을 정복할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길 기대합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물건을 내밀었어요. 물건의 정체는 자주색 양배추였지요.“최종 미션은 자주색 양배추를
이용
하시면 됩니다. 미션 장소는 바로 부엌입니다!”아저씨는 TV에 나오는 진행자 같았어요. 시원이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말했어요.“그런데 지금 우리가 무슨 미션을 하고 있는 거야?”“글쎄…. ... ...
Part 4. 자동차, 환경을 지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요.테슬라는 가벼운 리튬으로 만든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
했어요. 리튬이온배터리는 휴대전화,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배터리예요. 이전까지 충전지로 많이 사용되던 니켈전지 무게의 절반밖에 되지 않아 가벼우면서도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지요. ... ...
[과학뉴스] 젤리처럼 피부에 찰싹 붙는 터치패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흐르는 전류가 달라져요. 그리고 손가락이 닿은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지요. 이런 원리를
이용
하면 터치패널에 그림을 그리거나 게임을 할 수도 있답니다. 스마트폰 터치패드를 말랑말랑하게 만들 수 있게 된 거예요.연구팀은 이 터치패널이 유연하면서도 잘 깨지지 않아서 앞으로 활용도가 높을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쇠살모사는 콧구멍과 눈 사이에 열을 감지할 수 있는 ‘피트기관’이 있는데, 이걸
이용
해 먹이가 내는 열을 감지하고 사냥해요. 이때 위턱 앞쪽에 있는 한 쌍의 독니로 독을 주사한답니다. 쇠살모사는 양서류, 어류, 설치류, 심지어 다른 파충류도 잡아먹는 습성이 있어요.광릉숲에서는 유혈목이도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