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분야 중 기초에 속합니다. 보다 본적인 전기 현상을 탐구하고 개척하는 것에서
큰
보람을 느낍니다.방준휘 전기․정보공학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정윤찬 레이저 같은 학생이 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방준휘 정확한 학생을 말씀하시는 건가요?(웃음)정윤찬 제가 레이저를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지요.저는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저를 연구하면 인류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지구 정복보다는 인류와 함께 어울려 살고 싶어요.만화 :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눈에 띄고 손이 닿는 거리에 과학동아가 있다는 점은 손에 책을 붙들게 만드는
큰
동기부여가 됐다. 잡지를 읽은 학생들은 이어서 과월호를 찾아보게 됐고, 수업시간 중에 관련 내용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잡지 내용과 연관된 질문을 했다. 수업과 진로 탐구에 ‘든든한 도우미’교실로 찾아온 ... ...
[과학뉴스] 오랑우탄 살인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것을 보고 콘도르가 시도니를 공격한 것이다. 둘의 싸움에 에코까지 가세해 시도니는
큰
상처를 입었고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 마르제츠 연구원은 “암컷이 수컷과 연합해 싸우는 것도 매우 특수한 행동”이라며 “암컷이 수컷을 구슬려 자신을 돕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스형 행성일 것으로 생각했다. 지난해 3월 미국 칼텍 연구팀은 “지구보다 1.6배 이상
큰
행성은 암석형이 아니다”라고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로 천문학계에서는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정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마리아 오리올리 연구원은 소두증이 증가한 다른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두증이
큰
이슈가 되면서 출생결함조사가 강화됐고, 정상과 비정상을 명확히 판정할 기준이 없던 탓에 소두증 오진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말이다.하지만 2월 중순부터 부인할 수 없는 ‘정황 증거’들이 쏟아졌다.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훨씬 높게 덮을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51만2000km3)의 용암이 분출된, 지구 역사상 가장
큰
화산 분화 중 하나였다. 최근에는 데칸고원을 만든 화산 분화가 비슷한 시기에 멕시코 유카탄 반도 인근에 떨어진소행성과 함께 대멸종에 영향을 끼쳤다는 가설이 힘을 얻고 있다. 소행성 충돌과 화산 분화에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오른발이 땅을 디딜 때 48cm로 평균적인 보폭에 해당하나 왼발이 땅을 디딜 때는 21cm로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CCTV 속 범인의 보폭도 오차범위 ±1cm로 일치했다. …(중략) 병리학적 분석과 공학적 분석을 종합해 판단했을 때 용의자와 CCTV 속 사람은 동일인으로 보인다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운동제어와 각종 인지과정을 매개하는 기저핵 및 전두엽-시상 회로의 장애가 더
큰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독립된 병으로 인정받았다.사회공포증과 PTSD(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도 불안장애의 범주로부터 벗어났다. 사회공포증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창피를 당하거나 난처해지는 것에 대해 과도하게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말했다.안 교수는 “그보다 국토가 좁아 핵폐기물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한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한 핵연료를 재사용해 폐기물 양 자체를 줄여야 한다. 그래서 안 교수는 핵연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후 핵연료를 재사용하며, 핵 비확산 등 세 단계의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