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꼭 눌러 주면 다시 회로가 닫히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답니다.기자단 친구들은 회로를 이용해 저마다 원하는 물건을 만들었어요. 뚜껑이 닫혀 있을 땐 소리가 안 나다가 뚜껑을 열면 소리가 나는 멜로디 상자나, 어두운 곳에 가면 불이 켜지는 스마트 자동차를 만들기도 했죠.실험에 참가한 송채원 ...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바탕으로 어떤 물체인지를 구분하지요. 마지막으로 GPS는 지구 밖에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자동차의 위치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 준답니다.[▲레이더가 주변 사물을 빠르게 인식해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레이더와 카메라를 통해 장애물이 인식되면 자동으로 핸들을 돌려 ... ...
- Part 5. 자동차, 자연으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나무로 만든 자동차!스웨덴 왕립공과대학교 린든버그 교수팀은 최근 ‘탄소섬유’를 이용해 자동차의 지붕을 만드는 연구를 성공시켰답니다. 탄소섬유는 강철에 비해 5분의 1 정도로 가볍고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재료지요. 이 탄소섬유의 재료는 나무에서 얻어지는 ‘리그닌’이에요. 나무의 ...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있는데, 단단한 판 사이에 탄성이 좋은 막이 끼워져 있는 구조예요.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했어요. 여러 개의 판을 겹쳐서 충격에 강하면서도 구부렸다 펼 수 있도록 만든 거예요. 또한 좁은 공간을 잘 통과하도록 다리가 180°로 벌어지게 만들었답니다.바퀴벌레의 특성이 고스란히 담긴 크램은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별명이 붙었지요.산샤시 연구팀은 작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수중탐사로봇을 이용해 블루홀의 깊이와, 그 안에 서식하는 생물들까지 조사했어요. 그 결과 블루홀의 깊이는 300.89m로, 지금까지 가장 깊다고 밝혀진 바하마제도의 ‘딘즈 블루홀’보다 100m 정도 더 깊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이렇게 ...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화석의 관절에서 관절염을 앓았던 흔적을 발견했거든요. 연구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몸의 단층 사진을 찍을 수 있는 CT기계로 뼈 화석을 자세히 들여다봤어요. 그 결과 뼈에 브로콜리 모양처럼 뻥 뚫린 구멍을 발견했지요. 이 구멍은 화농성관절염의 증거라고 할 수 있어요. 화농성관절염은 관절에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오징어 외계인 ‘ 콩땅 어징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나기 시작한 ‘콩땅 어징오’는 이번엔 진짜 어려운 문제를 내겠다며 오징어 우주선을 이용해 홀로그램 입체도형 영상을 보여 준다.“잘 보라징. 이 중에 불가능한 게 섞여 있다징. 그걸 골라내지 못하면 지구인들을 몽땅 가둬 버릴 거라징!” “뭐징? 어떻게 다 맞춘 거징?”썰렁홈즈의 활약에 놀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그 비밀을 만나기 위해서 기자단 친구들은 먼저 온 몸을 깨끗하게 해야 했어요. 공기를 이용해 온 몸의 먼지를 털고 손을 깨끗하게 씻은 뒤, 위생가운을 입고 위생모와 위생신발을 신었지요. 마지막으로 공장으로 들어가기 전 한 번더 에어샤워까지! 공장 안으로 들어가서도 투명한 창 너머로 생산 ...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김민준 교수팀이 작은 자석을 이용해 길이를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름이 4.3*μm인 작은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로봇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위 아래로 진동하며 마치 ...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사람의 혈액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임신 중기 태아의 중뇌와 비슷한 2mm 크기의 중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었답니다. 바로 저예요. 연구팀이 중뇌 오가노이드를 관찰한 결과, 실제 중뇌에서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생성되는 과정을 관찰할 ... ...
이전409410411412413414415416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