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뉴스
"
미래
"(으)로 총 7,769건 검색되었습니다.
AI 대학원 어디 갈까…"KAIST AI 과목수,성균관대 교수 최다…고려대 산학협력 강점"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통해 선정한 세 개 대학에 설치됐다. 5년 동안 90억 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해
미래
AI 및 자율주행, 데이터 과학 연구를 선도할 인재를 키운다. 현재 KAIST 외에 성균관대와 고려대가 설립됐다. 개강을 한 주 앞둔 상황에서 가장 기본적인 전임교수 및 개설 교과목 수를 중심으로 세 대학원의 준비 ... ...
"식약처, 계속해서 규제기관 역할만 하면 '바이오 경제' 실현 요원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50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제시했다. 이를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와
미래
형 자동차 산업과 함께 차세대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4월 혁신 의료기기에 대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의료기기 육성법’과 ‘체외진단기기법’을 제정했고, 8월에는 첨단 바이오 ... ...
[기자의 눈]전문연구요원제도 존치? 오죽하면 경제논리도 안먹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제도를 폐지하겠다는 뜻을 밝힌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군대에 갈 사람이 줄어들어
미래
병역 수요를 충족하려면 대학과 기업에서 대체복무를 하던 석박사급 인력을 군대로 돌려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편에는 비(非)이공계라는 이유로 또는 과학기술특성화대나 상위권 대학이 아니라는 ... ...
열차끼리 교신해 스스로 간격 조정하는 ‘자율주행열차’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스스로 통신을 통해 간격과 속도를 제어하며 효율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미래
기술”이라며 “앞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교통 혁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컴퓨터로 디자인한 다공성 복합재료 실제 합성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연구팀이 합성에 성공한 금속 유기 구조체.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컴퓨터 설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다공성 복합재료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복합 ... 물질을 이론적으로 디자인해 합성까지 성공한 첫 사례”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삼성전자
미래
기술육성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기대된다. 뾰족하거나 뜨거운 자극은 위험을 회피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미래
의 로봇에 중요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장 교수는 “인공지능(AI) 분야가 발전할 때 위험요소 중 하나는 AI 로봇이 공격적 성향을 가질 가능성”이라며 “만약 로봇도 고통을 느낄 수 있다면 로봇의 공격 ... ...
과기정통부 "석사 병특 전면폐지' 사실과 달라. 아직 협의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협의 중이며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또 "병역자원 급감 등 국방 환경 변화와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필요성 등을 반영하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울산시 '게놈 엑스포 2019' 개최…세미나·체험행사 다채
연합뉴스
l
2019.08.24
시 관계자는 "이번 엑스포를 통해 게놈 관련 기업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얻고, 시민은
미래
신산업인 게놈 산업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익한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교육부와 비슷한 뜻을 밝혔다. 허재용 과기정통부
미래
인재양성과장은 “전문연구요원 제도와 관련해 일반 국민이 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국민들의 우호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 ...
문 대통령 "기술 자립 위해 국립대 적극적 역할 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학제간 융합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너무나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필요한 건
미래
융합형 연구와 인재양성”이라며 “학문 간, 전공 간, 문이과 영역 벽도 무너뜨린 융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 국정과제도 한 부처만 과제가 아니라 여러 부처가 협업하는 융합형인데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