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블랙홀도 삼시세끼?! 9시간 마다 별 먹는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9월 11일, 거대한 블랙홀도 주기적으로 식사를 할지 모른단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유럽우주국(ESA) 우주 생물학 센터 지오반니 미뉴티 박사팀이 지구에서 2억 5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 ‘GSN069’의 중심 블랙홀이 9시간마다 20배 밝아졌다가 다시 어두워지는 것을 발견한 거예요. 블랙홀은 강 ... ...
- [Go!Go!고고학자] 경주 고분을 외국인이 발굴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경주를 가본 사람이라면 아마도 낮은 건물들 사이로 봉긋하게 솟은 오래된 무덤인 ‘고분’을 본 적 있을 거예요. 그런데 경북 경주시 노서동에는 특이하게 생긴 고분이 있어요. 다른 무덤들과는 달리, 낮고 평평한 모습이 마치 누군가 무덤 위를 뭉텅 잘라낸 것처럼 생겼죠. 봉황이 새겨진 금관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우리 형제의 집을 부수고 빨간모자를 괴롭힌 늑대가 범인이야! 틀림 없어.”“에이, 탐정님. 복수심으로 수사하는 거 아니에요. 근거는 있어요?”“그, 그건…. 보통 동화에선 늑대가 나쁜 놈이지 않나?”개코 조수는 한숨을 푹 쉬면서 말했어요.“일단 늑대를 찾아가 보죠. 늑대가 빨간모자네에 ... ...
- 로봇도 만나고, AI 연주도 듣고~! 2019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어과동을 사랑하는 친구들이 기뻐할 소식이 있어요! 가을을 대표하는 과학 축제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이 10월 18일부터 21일까지 열리거든요. 올해는 특별히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를 주제로 해요. 어떤 프로그램이 기다리고 있을지 미리 살펴볼까요? 추천1 방귀 끼고, 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몽타주(montage) 사건의 용의자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몽타주, 한 번쯤 본 적 있을 거예요. 몽타주는 ‘조립하다(monter)’라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말로, 기존의 촬영된 여러 이미지를 편집하여 하나의 새로운 장면을 만들어내는 영화기법을 의미해요.몽타주 기법은 범죄 수사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 ... ...
- [어과동 창간 15주년] 15년 동안 함께 한 홍승우 작가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인공지능 마이보’를 연재하고 계신 홍승우 작가님은 어과동 창간호부터 함께 하셨어요. ‘다운이 가족의 생생탐사’, ‘녹색전사 에코’, ‘수학영웅 피코’, ‘SOS 애니몽’, ‘다운이 가족의 생생 양자역학’, ‘생생 인체탐험’ 등 어과동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쭉 지켜보신 작가님의 이야기 ... ...
- [과학뉴스] 진주에서 발견된 완벽한 형태의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지난 16일, 진주교육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스페인 아스트리아주 쥐라기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2011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발견됐던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완벽한 형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화석에는 도마뱀의 꼬리가 땅에 끌린 흔적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착륙선 비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비크람~! 비크람~! 정신 차려 봐~!”“아, 아. 응답하라. 여기는 달. 나는 과학 마녀 일리다. 찬드라얀 2호! 달 착륙선 비크람을 찾았다.” 여기서 뭐하냐고? 찬드라얀 2호가 달 착륙선 비크람을 찾으면 연락해 달라고 해서 달에 왔어. 그런데 비크람이 아직 의식을 찾지 못하고 있어. 얼른 의식을 ... ...
- 과학으로 언어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안녕? 어과동 친구들. 만반잘부(만나서 반가워, 잘 부탁해)! 난 세종이야. 10월 9일 한글날마다 한국어에 관심을 갖고 어떻게 바뀌고 있나 확인하고 있지. 언어는 살아있는 것처럼 자주 변하기 때문에 새로 생기거나 사라진 말은 없는지 자주 확인해야 해. ㅇㅈ? 어~, 인정. 올해도 겸사겸사 도서관에서 ... ...
-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조선시대 활자가 있었다면, 현대엔 컴퓨터가 있다! 지금이야 키보드나 스마트폰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게 쉽지만 1969년, 과학기술처에서 ‘한글 기계화 표준 자판안’을 제정하기 전까진 공문서에도 한자가 섞여 쓰이는 등 한글만으로 문서를 쓰기 힘들었어요. 하지만 표준 한글 타자기가 보급되면 ... ...
이전4104114124134144154164174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