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병렬컴퓨팅을 적용해보자고 생각했다. 학회에서 돌아오자마자 김 교수는 대학원 석·
박사
과정 학생들과 함께 병렬컴퓨팅 환경을 뒷받침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1998년 드디어 프로그램의 초기 모델을 탄생시켰다. 김 교수는 여기에 ‘입샙’(IPSAP, Int-ernet Parallel Structural Analysis Pro ... ...
[물리] 운동은 상대적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으며 파인만학원에서 심층연구센터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자연을 보고 느끼고 관찰하는 능력을 키우고 자유로운 사고와 폭넓은 독서를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것이 과학의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지구는 지금 이 순간에도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진화이론을 중심으로 학제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던 뉴멕시코 소재 산타페연구소에서
박사
후연구원으로 지낸 뒤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진화적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경제학, 정치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최복경 연구원은 성균관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기포음향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에서 동해 해양관측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수중음향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1. 동해 돌고래 소리 2. 서해 딱총새우 소리 3. 남해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주장했다.김기윤
박사
는 서울대 과학교육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과학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한양대 등에서 과학사를 강의하고 있다. ‘콜럼버스가 바꾼 세계’ ‘토마스 헉슬리’ 등을 번역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 ...
[천문우주]태양계 밖 행성서 이산화탄소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빛과 비교해 행성에서 나오는 빛을 분리할 수 있다.NASA 제트추진연구소 마크 스웨인
박사
는 “HD 189733b은 너무 뜨거워 생명체가 발견될 가능성은 없다”면서도 “이산화탄소 같은 유기화합물은 생명 현상의 부산물일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지구형 행성에서 같은 방법으로 생명체의 증거를 찾을 수 ... ...
[대기과학]태양 흑점 보면 기후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연구결과를 지리학 국제 저널인 ‘지오그래피컬 리서치’ 12월호에 발표했다.베이커
박사
는 1875년부터 2007년까지 태양 흑점 수의 변화를 조사해 호주 일대의 강우량 증감 양상과 비교했다. 그 결과 흑점 수는 짧게는 11년마다, 길게는 88년마다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고, 이 주기는 강우량의 증감 ... ...
[생물학]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날개 같은 구조가 양옆에 달려 있어 바람에 날려 퍼질 수 있는 형태다. 베칼로니
박사
는 “많은 놀라운 곤충들이 우리가 학명을 붙여주기도 전에 서식지 파괴로 사라지는 현실이 서글프다”며 열대우림 보호를 강조했다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중국, 몽골에서 공룡을 발굴했고 현재 경기도 시화호의 공룡화석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박사
는 이번 공동 탐사에서 나온 결과가 국내 공룡연구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희망한다.복늑골수각류 공룡에는 등척추에 연결된 늑골 외에도 배를 감싸는 늑골이 있는데 이것이 복늑골이다. 복늑골은 다른 뼈와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화장품에 많이 쓰이고 있다.1990년대 초 일본 아오모리산업연구센터 마츄에 하지메
박사
팀은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의 먹물에 들어 있는 뮤코다당류인 일렉신(illexin)이 종양억제활성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쥐에게 암세포를 주사한 뒤 그냥 둘 경우 2~3주 뒤 모두 죽지만 매일 일렉신 화합물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