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곤란한데…. 마술1 연속한 세 자연수와 3의 배수 궁금하면 잠 못 이루는 독자를 위해 특별히 비밀을 공개 할게요. 항상 답이 9가 되는 숫자 마술은 ‘9의 배수 판정법’을 응용한 거예요. 사실 이 마술은 아이디가 0309인 독자 분이 아이디어를 주셨어요!첫 번째 마술부터 살펴볼게요. 처음에 ... ...
- [영재교육원 탐방] 한양대학교 소프트웨어 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그동안 정보영재교육은 코딩에만 집중해왔다”면서, “창의·융합 인재를 기르기 위해 직접 교육과정을 고민하며 탄탄하게 짰기 때문에 어디에 내놔도 손색이 없을 정도”라고 한양대 소프트웨어 영재교육원의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양대 SW 영재교육원에 도전!한양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R&E 활동, 교사에게 도움 받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부탁을 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R&E 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교사를 섭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수업을 듣지 않았더라도 활동을 통해 본인을 알릴 수 있고, 다음 학기 수업에서 만날 수도 있기 때문에 두려워하지 말고 먼저 교사에게 다가가는 것이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부‘도’ 잘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대학에 입학한 뒤 행복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라도 흥미에 따라 열정적으로 활동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수능은 ‘공부 감각’ 유지가 중요 - 17학번 최지운자율형 사립고인 서울 세화고를 졸업한 최지운 씨는 인터뷰에 참여한 여섯 명 가운데 ...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충돌해 무너졌고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됐지요. 이후 뉴욕에선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매년 9월 11일에 강한 빛을 하늘로 쏘아 올리는 의식을 진행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이 빛에 약 1만 마리에 가까운 새들이 모여든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이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자, 2010년부터는 새들이 빛에서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브라운 캐나다 댈하우지대 교수와 오랫동안 비틀스의 음악을 수학적 기법으로 분석하기 위해 고민했다”며 “그 결과 글의 저자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스타일측정법(stylometry)’을 곡 분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희곡 ‘이중 거짓’ 원작자, 셰익스피어로 ... ...
-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미국의 우주군 창설 계획은 최근 급부상한 중국과 러시아의 우주요격기술 (위성, 탄도미사일 등)이 자국에 커다란 위협이 될 수 있다는 ...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도 21세기의 전략적 고지인 우주를 장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우주 산업을 육성해 미래 우주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순종 늑대 개체 수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doi:10.1098/rsbl.2009.0575 늑대의 멸종을 막기 위해 코요테로부터 격리하는 연구도 진행됐다.doi:10.1016/j.biocon.2015.09.003 에릭 지즈 유타주립대 자연자원과 교수는 “코이울프는 생태계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며 “코요테와의 교잡은 붉은늑대의 존속을 위협하는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뇌과학자들은 허브 셀이 정말 존재하고 있는지, 있다면 어디에 위치하는지 입증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신경 생성’ 일어나며 새로운 신경회로 생성 일상생활의 경험 중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것은 특별한 몇 가지뿐이다. 심지어 어제 있었던 일도 가물가물한데, 유아기 때 일이 거의 ... ...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는 치료 효과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치료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활로봇이 오작동을 하는 것보다 차라리 움직이지 않는 편이 유리하다”며 “뇌파가 정확히 감지된 경우에만 로봇 손이 움직이도록 설정했다”고 설명했다.뇌손상은 발병 6개월~1년이 지나면 이전 ... ...
이전4114124134144154164174184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