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발견했다. 고지대인 이
지역
은 아직도 눈이 쌓여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돌밭의 일부
지역
에서는 눈이 다 녹아버리고 없었다. 더군다나 그곳에서는 이끼까지 자라나고 있었다. 바로 이 장소가 지하에서 따뜻한 바람이 불어나오는 온혈이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온혈의 존재에 대해 얘기는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지구 주위를 돌게 되면 그 공전주기가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은 24시간이 돼 결국 특정
지역
의 상공에 계속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클라크는 이 궤도를 정지궤도라 불렀다(훗날 사람들은 그의 업적을 기려 ‘클라크 궤도’라고 명명했다).클라크는 이 궤도에 위성을 1백20도 간격으로 3대만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의의가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서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지, 어떤
지역
에서 더 강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림을 그리는 로봇 팔을 세포들과 연결한 것입니다.이번 아트보트 전시회에서 로봇 출품자들의 자체 투표로 뽑힌 최고의 로봇인 ‘마이크로 아담과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오랜 시간이 지나면 원뿔성운에서는 가장 밀도가 높은
지역
만 남을 것이다. 이런
지역
에서 별과 행성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어느 행성에서는 마치 메두사의 목에서 또다른 생명이 태어난 것처럼 진짜 생명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공포의 대상인 줄만 알았던존재가실상을알고보니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괴어 낭포를 형성한다대부분의 낭포는 비둘기알 정도로 크며 더 큰 것도 있다 유럽 중부
지역
에서 고생대 후기인 석탄기에 일어난 조산운동 바리스칸 변동이라고도 한다넓은 뜻에서는 석탄기에서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걸친 모든 조산운동을 가리킨다1886년 M 베르트랑은 유럽에서 알려진 ... ...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계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DNA분석법을 통해 세계 여러
지역
의 인종을 조사해본 결과, 각
지역
에 분포했던 여러
지역
의 호모에렉투스나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와 연관이 없으며, 현생인류의 직계조상은 약 17만년 전 아프리카인이라고 밝혀졌다.하지만 DNA분석의 결과가 아프리카 기원설의 완전한 승리를 가져다주지는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는 위치의 은하수가 좀더 밝고 진하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M7은 밝은 은하수
지역
에 자리하고 있는데다가 또 하나의 대형 산개성단과 어울려 있어 쌍안경으로 관측하기 좋다. 쌍안경을 M7로 향하면 시야의 양쪽 가장자리에 뭉쳐 있는 별무더기가 둘 보인다. 쌍안경에서는 전체적으로 별이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지난해 표면 아래 1m 정도까지 관측한 결과 극지방에서 위도 60°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
에서 상당량 얼음의 존재가 추정됐기 때문이다.물론 과거 화성 표면에 많은 양의 물이 흘렀는지는 아직까지 논란중이다. 물에 의해 만들어졌을 만한 특징이 액체 이산화탄소나, 기체 이산화탄소가 운반하는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교통 현상 때문에 부는 바람을 교통풍이라고 하는데, 터널 안이 교통풍이 부는 대표적인
지역
이다. 자동차를 타고 터널 중간에 잠시 내려보면 강한 바람이 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 바람은 자동차가 달리는 방향으로 함께 분다. 1백m 달리기 선수가 신기록을 세워도 기록을 공인받지 못하는 때가 ... ...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뇌를 정밀하게 조사하고 뇌의 고해상도 지도를 만들 수 있다. 현재는 뇌의 특정
지역
, 예를 들어 청각 및 시각 대뇌피질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카버 미드 박사는 이들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 감지 칩(인공눈)을 개발중이다.이같은 과정을 거쳐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