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Ⅱ. 원리와 종류-루비레이저에서 자유전자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펌핑)원, 활성매질로 부터 방출된 빛을 모아 한 방향으로 내보내는 공진기가 그것이다. (
그림
1)은 레이저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다. 아인슈타인의 유도방출레이저 매질로 이용되는 물질은 전기에너지든 운동에너지든 화학에너지든 빛에너지든 어떤 에너지를 흡수해 빛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용, 최초의 기체온도계를 만들었다. (3) 갈릴레이 온도계는 무엇이 불편했을까? 아래
그림
은 갈릴레이가 필론의 온도측정기를 본 따 만든 온도계다. 이 온도계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어 곧 다른 온도계로 대체된다. 가장 큰 단점을 지적한 사람은?① 아람:온도계를 들고 다니기가 불편하다.② 보람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은하라고 생각할 때 풍선이 커지면 점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그림
1 참조). 풍선의 공기가 빠지게 되면 표면의 어떤 점(은하)에서 보더라도 주위의 점들이 점점 가까워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거꾸로 흐른다면 어떠한 은하에서 보더라도 주위의 다른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손가락이 닿을 수 없었다면 어떠했겠는가. 손으로 기계를 만들고, 연필로 글자를 쓰고
그림
을 그리고 하여 기록을 남기는 문화의 축적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대뇌의 발달은 손의 정교함을 더욱 촉진시켰다. 대뇌와 손이 이 지구를 지배하는 주인이 되게 한 것이다. 다른 영장류도 손가락끼리 닿을 수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발달시키기도 했다. 특히 도자기의 제조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있었고 도자기에 그린
그림
도 특출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 터키석 등의 보석세공에도 정교한 솜씨를 보였다.3대신을 섬기고마야족은 극히 종교적인 민족으로 3대신을 섬겼다. 신성한 신인 부친신과 모친신을 모셨고 악한 신도 있었다.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달라진다. 화가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창조적인 작업을 수행하므로 시대마다 동일한
그림
을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작품의 창조성에 따라 후세에 남겨지거나 아예 없어지기도 한다. 자연계에도 성공하지 못한 수많은 종(種)들이 도태돼왔다. 이것은 자연이 예술의 창조성에 주는 교훈이다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해롭다.청소년은 성에 대한 호기심이 가장 왕성한 나이다. 그들은 성에 관한 잡지 소설
그림
에 탐닉하고 남자친구들끼리 모이면 여자얘기를 주로 한다. 이처럼 성에 대한 호기심을 친구와 주고 받는 농담을 통해 자연스레 발산하는 것은 무척 바람직하다.여학생의 경우 30~40%가 자위행위를 하지만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H.C. Urey)교수의 지도하에 박사학위논문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보려고 시도했다.그는 (
그림
)과 같은 장치를 마련하여 플라스크에 물(${H}_{2}$O) 메탄(${CH}_{4}$) 암모니아(${NH}_{3}$) 및 수소(${H}_{2}$)의 혼합기체(산소는 없음)를 넣은 다음, 전기방전을 시키면서 가열과 냉각을 계속했다. 한주일이 지난 다음,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생각하고 주위의 별들을 잘 연결하여 그 모습을 상상해 보면 아주 재미있을 것이다(
그림
).이 오리온좌에는 아주 유명한 천체가 있다. 삼태성 바로 밑에 있는 작은 삼태성(소삼태성)의 가운데 위치한 유명한 '오리온 대성운(M42)'이 바로 그것. 발광성운인 이 별은 눈으로도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지만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주로 만들었다. 그들이 추구하던 이상적인 세계와 환상의 세계가 추상화된 지도의
그림
으로 나타난 것이다. 지도책의 첫머리에 이런 지도를 끼워넣은 사람은 초야에 묻혀 유유자적했던 조선선비들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16세기 말에 저술된 한백겸(韓百謙)의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나 1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