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통계가 알려주는 최고의 캐릭터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치킨과 피자, 자장면과 짬뽕처럼 둘 다 맛있으면 하나만고르기 어렵죠? 캐릭터가 무려 43개인 ‘마리오 카트 8 디럭스’에서 캐릭터를 고르 ... 있고 가벼운 캐릭터는 매우 드뭅니다. 친구와의 승부에서 이기고 싶으면, ‘가벼운 사람이 날쌔니까 가벼운 캐릭터를 골라’라고 귀띔해 주세요 ...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찾을 수 있답니다! 규칙을 일반화하면 n개의 초코케이크가 있을 때 필요한 사람 수는 log2n이고 이 방법을 쓰면 반드시 약이 든 초코케이크를 찾을 수 있으면서 설사병에 걸리는 움파룸파의 수를 최소로 할 수 있습니다. 3번 제조실에서 만든 초코케이크는 8192개니까 213이므로 딱 13명의 움파룸파만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같아 보이지만 실은 사람의 손가락 지문 위다. 코끼리 조각상의 높이는 157μm에 불과하다. 사람의 숨결로도 부서질 수 있는 크기다. 허위츠는 멸종 위기에 빠진 아프리카코끼리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이 작품을 만들었다. 실제로 2010~2012년 10만 마리의 아프리카코끼리가 불법 상아 사냥으로 죽었다. 이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최근 스마트폰에는 딥러닝 기반의 ‘AI 프로세서’가 탑재되고 있다. AI 프로세서는 사람의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 비슷한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 추론하고 스스로 학습한다. 만약 스마트폰의 이미지, 영상 처리, 음성 인식 등에서 딥러닝을 구현하려면 수많은 데이터와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화학상과 생리의학상 경계 모호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 발표 뒤 의아해한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생리의학상을 받아도 될 만큼 연구 분야가 효소와 항체로 인류의 질병 치료에 기여한 업적이었기 때문이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의 모호한 경계는 비단 올해에만 나타난 것이 아니다. 2009년에는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영국의 대표적 운수·항공·관광회사인 버진그룹의 리처드 브랜슨 회장. 이 두 사람은 공통점이 하나 있다. 실험실에서 키운 ‘인공고기(Lab-grown meat)’가 인류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지난해 미국의 인공고기 스타트업인 ‘멤피스 미트(Memphis Meats)’에 거액을 투자했다. 소 8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야귀의 특성만 놓고 보면 야귀를 매개하는 병원체는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단시간 내에 사람을 죽일 수 있을 만큼 잠복기가 매우 짧아야 한다. 또 감염됐을 때 감염자는 강한 공격성을 표출해야 한다. 현실에서도 야귀와 비슷한 성질을 보이는 병원체가 몇 종 있다.우선 상처를 통한 감염부터 보자.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시감효능에 대한 연구도 각광받고 있다. 여러 가지 빛에 사람의 눈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사람마다 색을 어떻게 다르게 인지하는지, LED 조명이 신체 리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해외에서는 관련 연구가 날마다 쏟아져 나온다. 이 책임연구원팀은 국내 기관들과 공동으로 한국의 독자적인 ...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가 주인을 자꾸 물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편안하게 쉬고 있을 때와 먹을 때 개를 쓰다듬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잠을 자거나 밥을 먹을 때 방해받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관절염이나 치과 질환, 귓병을 앓았던 개들은 치료가 끝난 뒤에도 쓰다듬는 걸 싫어하는 경우가 많다. 행동 교육은 오래 걸리는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학과장은 산업공학과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람들이 원하는 게 무엇 인지 파악하고 미래를 조망하려면 인문학적인 소양과 공감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업공학과는 공대 내 다른 학과보다 들어야 하는 필수 교양 과목이 많다. 글쓰기의 기초, ... ...
이전4154164174184194204214224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