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한편으로는 우리 스스로의 정치적·문화적 변화도 감당하기 수월한 것이 아니다.이러한
세기
말의 시대엔 우리가 바라는 미래상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직접 만들어나가는 방법만이 안정된 생존 전략이 될 것이다. 먼저 그러한 미래상을 충분하게 모색하기에는 우리나라의 SF문학 역량이 많이 모자란 ... ...
종이책은 사라지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문명을 지탱해 온 전통의 미디어 '종이책'과 20
세기
후반에 등장한 신예 미디어 '전자 책'이 벌이는 싸움의 승자는 누구인가. 디지털 혁명의 여파로 상당수 정보가 CD롬 등 전자 미디어 형태로 바뀌고 있는 가운데, 책의 미래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여기에 지난 10월 15일부터 20일까지 열린 세계 ... ...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생각했다는 것이 신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의 실체가 전혀 드러나지 않았던 18
세기
만 해도 이것은 대단한 일이었다. 그러나 전기의 정체는 차츰 밝혀졌고 현대 문명을 이끄는 수레바퀴 노릇을 하게됐다.코로나 방전공기중에서 두 도체간에 전위치를 주어 불꽃방전을 시킬 때 불꽃이 나기전에 두 ... ...
21
세기
길라잡이 GPS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GPS는 정확한 위치와 시간을 알려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소개되기가 무섭게 사회전반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GPS의 뿌리는 무엇이고, 어떻게 응 ... 통신망과 지리정보시스템과 결합하면 수많은 새로운 응용분야가 탄생할 것이다. GPS는 21
세기
정보통신사회의 새로운 길잡이가 될 것이다 ... ...
'이드레스' 없으면 '디제라티' 아니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보내지 말라’는 뜻. ‘달팽이 우편’은 이제 그만컴퓨터가 위세를 떨치고 있는 20
세기
막바지는 이들과 관련된 용어로 뒤덮여 있다. 아둔한 친구에게 “CPU가 낮으면 메모리라도 많아야지”라는 식의 농담이 술술 튀어나오는가 하면, ‘기억’보다 ‘저장’이란 단어가 훨씬 적확한 의미로 ... ...
3. V2에서 벤처 스타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미사일을 개량한 것이다. 따라서 상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제작비가 너무 비싸다.21
세기
의 우주개발 방법 중 가장 중요한 점은 경제성과 효율성일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우주개발은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선진국의 우주개발 방향을 볼 때 우리나라는 저궤도용 ... ...
Ⅱ. 피라미드에 담긴 수치의 의미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때문이다. 그런데 2천년전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상식이었다.기원전 6
세기
경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투스가 이집트를 방문했을 때 이집트 신관으로부터 지구가 마치 둥근 도자기처럼 생겼다는 말을 전해들었다. 어떻게 고대 이집트에 지구 모양에 대한 지식이 전해왔던 것일까. ... ...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화성침공’과 같은 최근의 SF 대작에 이르기까지, 화성 생명체에 대한 애정과 공포는 한
세기
동안 계속되고 있다.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스키아파렐리는 1877년 화성 표면에서 40여개의 줄무늬를 관측했다. 그는 이 줄무늬를 이탈리아어로 자연적 수로를 의미하는 ‘카날리’(canali)라고 불렀는데, 이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유일무이한 우주정거장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를 무시할 수는 없다. 다가오는 21
세기
를 러시아가 어떻게 준비하는지는 세계적인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아직까지 북극곰의 발톱은 무뎌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에 핵심 역할비록 돈이 없어 쩔쩔매지만 러시아의 항공우주기술은 ... ...
Ⅲ. 초고대 지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그려져 있다. 또 위도와 경도의 위치가 근대에 사용되는 것과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16
세기
는 남극에 대륙이 있다는 사실조차 알려져 있지 않았을 때인데, 1km도 넘는 얼음 두께 아래의 모습을 어떻게 그릴수 있을까. 과연 누가 그것을 제작했을까.약 1만년 전까지 지구에는 현재보다 훨씬 넓은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