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5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퀴벌레는 ‘똥’으로 친구 부른다
2015.12.08
점에 착안해 연구팀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가장 강력한 응집제로
작용
하는 성분 6가지를 추려냈다. 이들 성분은 지금까지 바퀴벌레 미끼로 사용된 어떤 물질보다도 바퀴벌레를 끌어모으는 효과가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칼 교수는 “바퀴벌레 배설물은 ... ...
이런 초신성 폭발 장면 본 적 있나요
2015.12.07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백색왜성이 태양과 같은 보통 크기의 별과 상호
작용
을 해도 제1a형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관측 증거를 처음으로 찾았다고 7일 밝혔다. 제1a형 초신성 폭발에 대한 기존의 유력 가설(그림 a)과 연구팀이 실제 관측을 통해 증명한 폭발 원리(그림 b) ... ...
부
작용
없으면서 효과 큰 항암 후보물질 개발
2015.12.07
발견한 것”이라면서도 “세포단계 실험에서는 부
작용
이 없었지만 동물실험을 통해 부
작용
의 유무를 점검해야 하고, 항암 효과도 더 높여야 실제 약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학술지 “앙케반테 케미” 11월 23일자에 실렸다.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따라 결국 바질라이 교수의 전략이 맞아떨어진 셈이다. 메트포르민의 노화지연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불분명한데, 세포내 에너지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를 건드리는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염증을 억제하고 성장인자의 분비를 떨어뜨리고 산화로 인한 손상을 줄여 결국 세포노화가 지연된다. TAME ... ...
‘애인있어요’ 지진희 애절한 눈빛, 여심 돌릴 땐 무용지물?
2015.12.06
등 공동연구팀은 사람을 설득하는데 눈을 맞추는 ‘아이컨택’이 상대에 따라 다르게
작용
될 수 있다는 결과를 ‘심리과학’지 2013년 9월 25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이컨택’이 사람을 설득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열심히 자신의 주장을 말하는 사람의 영상을 ... ...
한국 영재들, 올해 열린 ‘두뇌 올림픽’에서 역대 최고 성적
2015.12.04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국가대표 학생들의 열정과 끊임없는 노력은 화룡점정으로
작용
했다. 한때 과학올림피아드가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비판 때문에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할 수 없게 되면서 ‘위기론’이 일었지만 여전히 국제대회 수상자 대부분은 생활기록부와 상관없이 학문에 대한 열정 ... ...
양자의 중첩이 만들어내는 가장 빠른 컴퓨터, 퀵실버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2.01
광자의 경우 중첩상태를 오래 유지시켜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서로 상호
작용
이 없어 연산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온트랩 역시 중첩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지만, 일정 개수 이상의 큐비트를 구현하고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어떤 것이 실제로 양자컴퓨터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②
과학동아
l
2015.11.30
평평할 때 다리를 어떻게 움직일지 역으로 계산했습니다. 동시에 로봇의 ZMP(무게 중심에
작용
하는 모든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지점)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깔았습니다. 로봇이 스스로 중력과 관성력을 계산해 발바닥을 딛는 위치와 속도 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죠. ●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동물의 의사소통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15.11.30
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기도 쉽다. 회색바다표범이 달고 있는 장치는 동물 간 상호
작용
과 해양 환경 정보를 음향과 위성 신호로 송수신 할 수 있다. - D.LIDGARD 제공 스웨덴 스톡홀름대 파비앙 로케 박사팀은 국제 연구진이 10년 동안 바다표범 수백 마리에 원격송수신장치를 부착해서 얻은 남극해 ... ...
작은 분자 하나로 알츠하이머 무력화
2015.11.23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금속 이온, 활성산소 등에
작용
해 독성이 없도록 무력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분자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뭉치는 과정에 관여해 뇌 속에 쌓이지 못하도록 막을 뿐 아니라 이미 쌓인 단백질의 독성도 무력화시키는 것으로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