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여
봉사
이바지
도움
기부
출자
기고
d라이브러리
"
공헌
"(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10
이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대덕연구단지는 숱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먼저 지역사회에
공헌
하는 바가 없다는 평가를 받고있다.이같은 평을 받는데는 연구단지를 지을 때 산업배후지와 학(學)·연(硏)·산(産)공동연구체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데 일차적인 책임이 있지만, 연구소를 관리하는 ... ...
PART3 쓰쿠바
과학동아
l
199010
이는 장차 쓰쿠바 신도시가 세계적인 과학기술 및 학술기능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는데
공헌
할 수도 있을 것이다.세계의 기술도시들RTP·루트128·노보시비르스크·루베인·TPA·신주실리콘밸리의 성공 이후 세계 각국은 산·학·연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테크노폴리스를 건설하는데 큰 힘을 쏟고 있다 ... ...
컴퓨터에 상식을 가르친다
과학동아
l
199010
않다.사실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Cyc가 실패할지라도 이것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커다란
공헌
을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것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모험적인 일이다. 그러나 또한 가장 흥미롭고 꿈같은 것중의 하나다. 이것이 작동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왜 그런지를 찾을 것이고 그런 식으로 더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09
서유럽에까지도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문화사에서, 기술사에서 결코 예사롭지 않은
공헌
이었다.그러나 그 기여도는 '평가절하'되고 있다. 우리 스스로가 그 기술을 대단하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에서도 구텐베르크만큼 알려져 있지 않다. 그 이유중 일부는 파급효과와 영향이 ... ...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09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치료는 암치료의 보조치료제이며 암완치율을 다소 높이는데
공헌
할 것으로 기대된다.암항체(monoclonal antibody)의 이용가 능성이 증대되었다. 먼저 암세포를 주입해서 형성된 면역세포를 이용해 암에 대한 항체를 다량으로 실험관내에서 생산한 후 이를 환자에 투여하는 ... ...
경기용차의 구조와 성능「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노력
과학동아
l
199009
자동차 경기가 없다.자동차경기가 모험스포츠이긴 하지만 자동차 기술발전에 결정적인
공헌
을 한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도 한번쯤 자동차경기를 개최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자동차에 관련된 첨단기술은 최고의 속도와 성능을 겨루는 자동차 경기대회를 개최함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07
지(脂)당백질 리파제를 활성, 지방의 생성이 증진되게 한다.이러한 과정의 이해에
공헌
한 코리부부(C.F.Cori와 G.T.Cori)와 서덜랜드(E.W. Sutherland)는 1947년과 1971년에 노벨의학상을 받았다. 인슐린과 수용체의 결합 이후의 세포내 과정은 1980년대 카스가, 칸, 로스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맹렬히 추구되고 ... ...
Ⅱ 생명체의 사령탑─뇌하수체
과학동아
l
199007
해명, 보다 심원한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치료의 길을 여는 데도
공헌
할 것이다. 나아가 인류의 밝은 내일을 여는 데도 크게 이바지할 게 분명하다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07
중점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우주개발은 소련의 국제적 지위향상에
공헌
한다고 인식하고 특히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소련의 과학기술은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의 영향으로 최근 중요한 변환기로 접어들었다. 그 주요한 변화추세는 다음과 같다.소련 과학아카데미총재 ... ...
새로운 AIDS 백신과 항체 발견
과학동아
l
199006
쏟아져나와 세계 의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AIDS 바이러스(HIV)의 발견과 분리에
공헌
한 장 클로드 샤르망교수는 지난 4월 24일 세포 내에서 HIV의 성장을 억제하는 B-2마이크로글로불러(microglobular)항체를 분리해냈다고 발표했다. B-2마이크로글로불러 단백질은 세포 표면에 존재하며, 세포에 들어온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