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그는 “실제로 학창 시절, 같은 반 친구가 3년 동안 같은 반이 될 확률을 계산해
보기
도 했는데, 생각보다 낮았다”고 말했습니다.이처럼 수학을 좋아하지만 권 작가님이 ‘수학 만능론자’인 것은 아닙니다. 권 작가님은 “실생활에서 수학이 필요한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때도 있다”고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교수가 워덤칼리지의 교수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펜로즈 타일링의 가치는 단순히
보기
좋고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었다는 예술성에 그치지 않습니다. 반복되는 규칙 없이도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접 보여준 펜로즈 타일링 덕분에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엉터리 실험으로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성게가 모자를 즐겨 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컨텐츠로 만드는 나쫌NaZZom 채널에서 직접 북두칠성을 확대해 봤더니, 별이 8개?! 별
보기
어플에서도 확대해 보면 알 수 있다는데…. 이 정도면 북두팔성으로 이름 바꿔야 하는 거 아닙니까? 추리게임 어몽어스의 캐릭터들이 거대한 설탕 슬라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우선 설탕 2kg을 물에 녹인 뒤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학자들은 다양한 도형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리치 흐름을 사용해요. 우리가
보기
엔 제각각 다른 도형들도 리치 흐름에 따르면 가장 단순한 모습으로 변하거든요. 1982년 미국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은 모든 종류의 3차원 다양체를 리치 흐름으로 단순화시켰을 때 8개의 모양이 나온다는 것을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복잡한 기계가 엄청난 양의 데이터에 기반한 기계학습을 통해 산출하는 결과물이 사람이
보기
에 동일한 일을 수행하는 사람이 산출한 결과물보다 더 혹은 덜 공정한가’를 의미한다. 이렇게 정리하고 나면 처음 제기한 문제인 ‘AI가 공정하거나 편견을 갖는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에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나오는 에너지는 미약한 수준에 그치는 만큼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얻는다는 개념으로
보기
는 어렵다”고 말했다.최근에는 커 블랙홀의 에르고스피어 영역의 회전이 아닌 자기력선에 의해서도 에너지가 추출될 수 있다는 이론이 발표됐다. 미국 컬럼비아대와 칠레 아돌포이바녜스대 공동연구팀은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뒤, 특정 변수의 수치를 바꿔보면 그 변수가 불공정한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쉬운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가령 채용 AI에 입력된 한 지원자의 정보에서 성별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꿔보거나, 나이를 20세에서 50세로 바꾸면 성별과 나이가 합격과 불합격을 가르는 데 불공정한 영향을 ... ...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콤달콤 연구소는 어떤 곳? 어린이 연구원들이 ‘쓴맛’으로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첫 번째로 ‘두 번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단맛으로 바꾸고 ...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Part3.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정해진 시간 안에 꿀잼 영상 골라
보기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정해진 시간 안에 꿀잼 영상 골라
보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본책 28 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한번
보기
시작하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되는 꿀잼 영상들!하지만 너무 오래 보면 곤란해요. 달콤이는 빵을 굽는 동안에만 영상을 볼 거예요. 어떤 영상을 보면 좋을까요?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달의 실제 크기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우리가 보는 겉
보기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지요.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약간 찌그러진 타원 궤도로 공전하고 있어요.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는 약 35만 6400km로 이때 달은 무척 크게 보여요. 이때 뜨는 보름달을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