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호
옹호
방어
방위
수호
후원
찬조
d라이브러리
"
보호
"(으)로 총 3,50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때 내가 무엇을 가장 후회할지 생각하고 하루의 일과를 결정하자. 우선 내 치아와 척추를
보호
하지 않으면 나의 통장과 정신에는 굉장한 타격이 있을 테니까 이 닦고 앉아서 뭐라도 하자.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는 위·변조, 표절 등에 국한됐던 연구부정행위가 생명안전법, 정보
보호
법 등으로 확대되며 연구부정행위를 더욱 엄격하게 제재할 수 있게 됐다. 대학원, 연구소 등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윤리 교육도 점차 확대되는 중이다. 엄 교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연구윤리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우연한 기회로 창업에 도전했다고 전했다. “박사과정 중에 유럽연합(EU)의 개인정보
보호
규정(GDPR)에 대처하는 기술적 방안을 연구하는 한-EU 국제 공동연구과제에 참여했습니다. 당시 아마존웹서비스(AWS)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꼭 필요한 기술이라며 창업을 권유했어요.”두 기업은 모두 KAIST의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고추 씨앗을 먹고 널리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식물이 천적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번식하는 데 캡사이신이 핵심 역할을 했다. 3. 카페인 │적을 헤롱헤롱하게 만드는 강력한 독성 커피나무는 박테리아와 곰팡이 등의 성장을 방해하는 독성화합물인 카페인을 가지고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백신도 분해될 위험이 있죠. 모더나와 화이자는 mRNA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mRNA 백신을
보호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분해될 수 있어서 보관 온도가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단백질도 쉽게 만들 수 있어서 많은 제약회사가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 ...
[질문하면 답해ZOOM]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세균을 배출하기 위해 짙은 농도의 가래를 만들어요. 세균 감염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
하는 거지요. 병을 앓지 않는 건강한 사람이라면 보통 하루 100ml 정도 가래가 분비돼요. 하지만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이를 삼켜 가래가 생기는 것을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에요.요즘처럼 추운 ... ...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고생물학자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대 명예교수가 문화재청이 선정한 ‘2020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대통령표창을 지난해 12월 8일 수상했다. 2004년 표창이 제정된 후 한국 국적이 아닌 사람이 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2005년 러시아 학자에 이어 그가 두 번째다.시상식 직후 서울 강남구 ... ...
이중섭의 '흰 소' 과학적 가치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흰 소의 해를 맞아 멸종위기에 놓인 백한우와 이들을
보호
하기 위한 연구자들의 노력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시도도 있었지만, 해양 산성화를 유발할 수 있어 2007년부터는 북동대서양 해양환경
보호
조약(OSPAR convention)에 따라 규제하고 있다.지금은 주로 땅속이나 바닷속 지층에 이산화탄소를 직접 주입해 저장한다. 해저 750~1000m 깊이에서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 상태로 존재해 주변 지중 유체나 지층에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편집자 주.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와 함께 다친 야생동물의 구조와 치료, 방생과정에 관한 기사를 시작합니다.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는 2010년 개소한 기관으로 야생동물을 구조해 자연으로 돌려보내고, 이 과정에서 알게 되는 야생동물들의 이야기를 대중에게 소개하려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