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행자
d라이브러리
"
신비가
"(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영국 케임브리지를 뜨겁게 달궜던 지난 며칠 간의 주제 토론회를 마친 후라 그런지 공개강연과 종합토론이 열릴 오늘은 오히려 마음이 다소 가벼워졌다. 그간의 토론회가 BBC를 통해 전세계에 생중계된 덕에 BBC 인터넷 게시판은 지난 며칠 동안 전세계 네티즌들로 시끌벅적했다.강연 원고를 미리 받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0월 30일 새벽 3시 40분경. 경북 영천 보현산 천문대에서는 국내 천문 역사상 최초의 쾌거가 이뤄졌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 오로라를 한국해양연구원(KORDI) 극지연구소 원영인 박사팀이 직접 촬영한 것이다.붉은색,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띠는 오로라는 그야말로 장관이다.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추운 겨울밤, 옷깃을 여미며 바쁜 걸음을 옮기다 문득 쳐다본 하늘 한쪽에는 별들이 옹기종기 모여 빛나고 있다. 밤하늘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보아야 할 최고의 성단, 플레아데스다.아마도 오랜 옛날, 밤하늘을 쳐다보던 사람들에게 가장 신비스럽고 이상하게 보인 별들이 바로 플레아데스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가을하늘을 빛내는 거대한 안드로메다은하를 지난호에 소개했다. 이번달에는 그 옆에서 빛나는 또하나의 나선은하 M33을 찾아가보자.북반구의 2인자밤하늘에는 별보다 더 많은 은하가 있다지만 대부분은 거리가 너무 멀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설사 보인다하더라도 매우 희미하고 작게 보인다. 그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주도해 나갔다.그러나 미국과 옛 소련의 이와 같은 각축전은 얼마가지 못했다. 달의
신비가
벗겨지자 사람들의 관심이 태양계 안에 있는 보다 먼 행성으로 향했던 것이다. 달에 대한 모든 연구가 중단된 채 30년의 시간이 흐른다.달을 향한 새로운 도전최근 달 탐사의 첫 테이프를 끊은 주인공은 지난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폭발 이후 중심에서 하염없이 영원의 시간속으로 멀어져 간다는 우주의 끝. 인간의 두뇌로는 감히 그 넓이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그렇게 우주는 무한한 공간일까?이 질문에 대해 오랫동안 사람들은 주저없이 ‘그렇다’고 답해왔다. 그러나 최근 이같은 고정관념을 뒤흔드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 ...
1 화석연료 대체할 최적 후보 수소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지금까지 화석연료는 모든 경제 활동에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돼 왔다.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1970-80년대의 석유 파동은 물론 최근 발발된 미국과 이라크의 전쟁을 계기로 화석연료에 대한 ‘불안’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 수급이 가능한 새로운 에너지원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가을은 하늘이 맑아 별을 보기 좋은 계절이다. 별이 반짝이는 가을밤, 어린시절 만화영화의 꿈을 안고 하늘 높이 빛나는 대형은하 안드로메다를 찾아가보자.최초로 관측된 외계은하 안드로메다‘기차가 어둠을 헤치고 은하수를 건너면….’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는 ‘은하철도 999’란 만화가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과학적으로 풀지 못하고 있는 자연현상 가운데 하나가 인간의 인지 능력이다. 많은 과학자는 인간의 정신 활동으로 형성되는 마음의 정체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일이 21세기 인류의 당면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과연 인간의 두뇌에서 나오는 마음의 비밀을 어떻게 풀 수 있을까.복잡한 현상 쪼개 ... ...
압력솥 온도 견디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압력솥에서 살아남을뿐 아니라 증식도 하는 초내열성 미생물이 발견됐다. 미국 메사추세츠대 미생물학과 러브레이 교수팀은 태평양 심해 열수분출구 주변에서 채집한 미생물이 압력솥 내부의 온도인 1백21℃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미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