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합"(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때 몽타주를 그리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목격자가 용의자의 얼굴형, 눈, 코, 입 등을 골라 조합하는 방식으로 몽타주를 만들었다. 하지만 사람은 얼굴을 볼 때 일차적으로 눈코입 등 얼굴 부위보다는 전체적인 인상을 먼저 기억한다(doi:10.4304/jmm.1.3.42-51). 이 연구에서 힌트를 얻어 목격자에게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블록)의 수학’이라는 5주짜리 겨울학기 강의를 열었어요. 3주 동안 경우의 수를 따지는 조합론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쓰는 최적화 이론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10분 안에 슈퍼스타 디스트로이어를 조립하는 전략을 짜라고 도전 과제를 내줬어요. 학생들은 세운 전략을 토대로 2주 동안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14점 더블을 향해 던진 다트가 빗나가 11점이나 9점 영역을 맞히면 다시 새로운 점수 조합을 생각해야 해요. 그런데 32점을 만드는 경우, 16점 더블을 향해 던진 다트가 빗나가 16점 싱글 혹은 8점 싱글, 8점 더블에 맞아도 다시 16점 싱글, 8점 더블, 8점 싱글, 16점 싱글을 맞히면 돼서 실수해도 별로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단위인 켈빈(K), 그리고 광도의 단위인 칸델라(cd)다. 나머지 단위들은 7개 기본단위를 조합해 유도한다. 예를 들면 힘의 단위는 킬로그램, 미터, 초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다(kgms-2). 보통 사람들은 이런 단위가 얼마나 정확한지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 몸무게를 잴 때 체중계에 표시된 숫자에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또,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 자리에서 누군가 “게놈 편집한 생물이 유전자 재조합 생물인지 아닌지 답해주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겠다!” 고 외쳤는데, 과학자들이 눈치만 살폈다는 이야기도 담았다. 그만큼 논란이 많다는 뜻이다. ‘게놈 편집 식품은 안전한가’ ‘크리스퍼 Cas9은 누구의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만나는 시기에 크리스퍼가 작동해 정자의 유전자를 자르고, 난자의 유전자와 상동재조합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추정일 뿐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2세포기 이전의 배아를 관찰해야 한다. 박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인간의 손은 29개의 관절, 34개의 근육, 그리고 123개의 인대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손 동작은 무려 100가지가 넘는다. 바이오닉 다리로 더 빨리 달릴 수 있을까사이보그의 여러 능력 중에서 가장 현실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기술은 의외로 로봇 다리 기술이다. 우리는 매일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명이 짧다. 유성 생식은 복제가 아니기에, 내가 죽으면 나를 구성했던 독특한 유전적 조합도 함께 사라진다. 내 자식은 나를 구성했던 유전자들의 절반일 뿐이다. 손자는 4분의 1일뿐이다. 단 몇 세대만 지나도, 나로부터 유전자의 극히 일부만 물려받은 후손들만이 남게 된다. 집단의 유전적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때 저항력과 발을 감싸고 있던 공기가 부레 역할을 하면서 부력이 생깁니다. 이 힘의 조합 덕분에 바실리스크 도마뱀은 몸이 가라앉지 않고 뛰어다닐 수 있습니다. 물 위를 달리는 최적의 각도이번에는 바실리스크 도마뱀이 물 위를 달릴 때 관절이 이루는 각도를 관찰해 봅시다. 토니아 시에 미국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년 8월 토마센 교수가 인터넷에 베크너의 문제를 푼 논문을 공개합니다. 이번엔 학술지 ‘조합적 이론 시리즈 B’의 게재 승인까지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여러 수학자의 검증 과정을 거쳤으니 문제가 풀렸다고 볼 수 있겠지요? 이 논문은 앞서 소개한 것과 다르게 컴퓨터를 전혀 쓰지 않았습니다.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