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건 아니랍니다.블록 장난감이 처음으로 기록된 건 1600년대예요. 1693년,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책에 ‘알파벳이 적힌 놀이도구’란 말이 등장하거든요. 이 놀이도구는 육면체 나무블록으로, 알파벳을 익히기위한 교육 도구였죠. 그 뒤에도 나무 블록은 장난감이나, 교육 도구로 많이 쓰였어요. ...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고전역학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다.1957년 미국의 물리학자 존 바딘과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는 초전도의 근본 원리를 양자장론으로 해석한 이론을 발표했다(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BCS이론이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초전도는 전자 두 개가 포논을 매개로 짝을 이루기 때문에 일어나는 ...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갇혀 있는 수학자인가요?”네이피어의 수“네. 저는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의 수학자 존 네이피어예요.”“어쩌다가 앵무조개에 먹혀버린 거지요?”“문제를 하나 더 내볼게요. 5×3×3×3의 답이 뭘까요?”“너무 쉽잖아요. 음…, 135이지요.”“그럼 3×3×3×3×3×3×3×3×3×3×3×3×3×3×3×3×3×3×3×3×3×3× ...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깡그리 무시한 채 외부인에게 모든 잘못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대 심리학자 존 조스트 교수는 공포를 느끼면, 똑같이 나쁜 일이라고 하더라도 잘 모르는 나쁜 대상보다 익숙한 나쁜 대상을 더 옹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doi: 10.1111/j.0963-7214.2005.00377.x). 기왕 해코지를 당하더라도 ... ...
-
- [지식] 인생은 게임이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이 이론으로 노벨상까지 받았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고민도 수학 문제로 보는 저 존 내시가 여러분의 고민에 제동을 팍팍 걸어드리겠습니다. 사소한 고민도 좋으니 사연을 보내주세요.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게임’을 합니다. 승패를 가리기 위해서 싸우는 것만이 게임은 아니거든요. ...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동물학과 건물. 존 메이나드 스미스 교수가 연구실에 앉아 ‘이론 생물학 저널(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에 투고된 원고 한 편을 심사하고 있었다. 수식도 많고 내용도 생소해서 이 원고의 심사를 먼저 의뢰 받은 다른 두 심사자는 ...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푸는 데 활약했기 때문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광도함수 문제’다.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은하를 광도 순으로 나열하면 어두운 은하가 많고 밝은 은하가 적다. 별이 많을수록 은하가 밝으므로, 가벼운 은하가 많고 무거운 은하가 적다는 의미다. 이는 당연한 결론이다. 작은은하들이 먼저 생기고 ...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선 파충류가 숫자를 셀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9년 샌디에이고동물학회의 존 필립스 박사는 미국 샌디에이고동물원에 있는 바위왕도마뱀을 연구했다. 바위왕도마뱀은 몸길이가 2m나 되는 거대한 도마뱀으로, 육식성에 성질도 사납다. 하지만 파충류연구 경험이 많은 필립스는 이 ...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를 재현하는 일을 했습니다. 그런데 단 11%의 연구만이 재현된 것이지요.한편 2005년 존 이오아니디스 미국 스탠포드대 의학 교수는 의학연구의 대부분이 거짓이며, 참인 결과도 그 효과가 과장됐다고 주장한 연구를 발표해 의학계에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그 근거로 허술한 실험 설계와 지나치게 ...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합성효모를 만들기 위한 때아닌 경쟁이 진행되기도 했다. 미국 UC버클리 식물미생물학과 존 듀버 교수와 캐나다 컨커디어대 생물학과 빈센트 마틴 교수가 유력한 후보자로 꼽혔으나, 결국 가장 먼저 헤로인 생산 효모에 성공한 건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생물공학과 크리스티나 스몰케 교수였다.3)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