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뉴스
"
개량
"(으)로 총 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물질 보고 단백질, 자유롭게 구조 바꾼다
2015.05.26
또 3개 이상 결합한 것들은 3~10각형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조립체 표면을
개량
해 생체 분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크기의 나노조립체를 정확하게 분리해내는 방법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단백질 신약, 백신 등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걸로 전망된다. 바이러스 등 ... ...
외국산 씨돼지 수입 막는다… 한국형 씨돼지 농가보급 시작
2015.05.18
씨돼지 보급을 꾸준히 늘려나갈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2단계 사업으로 육질과 사료 효율
개량
을 더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한국형 돼지품종을 완성해 씨돼지 수입의존도를 10% 이내로 낮출 수 있을 걸로 보고 있다. 농진청은 한국형 씨돼지 보급을 700마리까지 늘릴 경우 직접적인 경제 ... ...
어떤 귀화식물을 제거해야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30
온 박과 식물로, 줄기가 4~8m 뻗는 덩굴 식물이지요. 처음 들여올 때는 수박 품종을
개량
하기 위해 접붙이기 용으로 들여왔어요. 생명력이 강한 만큼 수박이 가시박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면 환경 변화에도 끄덕 없을 테니까요. 하지만 이렇게 들여온 가시박이 야생에 나가면서 문제가 발생했어요. ... ...
“생물다양성 보존은 지구를 지키는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25
아니라 해충의 공격에 취약한 바나나 농장의 예도 들었다. 열매를 잘 맺도록
개량
한 한 종류의 나무만을 인위적으로 모아 놓았기 때문에 해충이 쉽게 번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 원장은 “자연 생태계라면 바나나와 다른 식물이 섞여 자라기 때문에 한 종의 해충이 번성해서 넓은 지역 전체를 ... ...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년 전 네덜란드에서 첫 등장한 굴절망원경을 더 높은 배율로
개량
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이 망원경을 이용해 지구 밖 천체를 관측했다. 인간이 우주를 보는 새로운 눈을 얻은 순간이었다. 그 후 400년. 망원경은 우주를 좀 더 깊고 넓게 보기 위해 끊임없이 몸체를 불려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우리가 먹는 쌀이 야생미와는 아주 다른 맛이듯, 가축이 된 젖소에서 나오는 우유도 종자
개량
을 거치며 맛이 바뀌었습니다. 사람 젖에 가까운, 사람 입맛에 맞는 젖으로 말입니다. 우리의 입맛에 맞게끔 우유의 맛을 바꾸기 위해 젖소의 유전자도 변화시킨 것입니다. 한때,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고 ... ...
야생 박 게놈에서 항암 유전자 있다
2014.11.30
물질이다. 그동안 쿠쿠비타신의 쓴 맛 때문에 이 성분을 줄이는 쪽으로 식물을
개량
해 왔다. 하지만 최근 쿠쿠비타신이 암세포를 죽이거나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이 성분은 오히려 주목받고 있다. 최근 중국 농업과학원 연구팀은 야생 박의 게놈에서 ... ...
홍상어 4발 쏘고 “합격”… 뒤늦게 결함 발견
동아일보
l
2014.11.05
구축함에서 실시한 실사격에서 목표물을 맞히지 못했다. 이후 실전운용을 중단하고 성능
개량
을 거쳐 15발을 더 쏴본 뒤에야 양산에 들어갔다. 군사 전문가들은 소수의 시험발사 성공 후 명품 무기를 개발했다고 홍보했다가 추후에 결함이 발견되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국산 정밀 유도무기의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들여오고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본 농민들이 한반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서구에서
개량
된 사과를 도입했다(홍옥과 국광이 대표적인 품종이다!). 그 결과 빈과와 토종 능금(말루스 아시아티카) 재배는 몰락의 길을 걷고 마침내 사라졌다고 한다. 필자가 추억에 잠겨 매년 가을이 오면 기다리던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조수들은 잊히고 ‘하버-보슈법’으로 불린다)은 약간의
개량
은 있었지만 본질적으로는 바뀌지 않은 채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인류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도 여전히 막강하다. 즉 이 합성과정을 통해 매년 1억2000만t의 질소가 암모니아로 바뀌는데, 여기에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