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흔 된 아들도 엄마 눈에 아기인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생명과학분야 권위지 ‘셀’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6세 사이의 막내를 둔 엄마 747명을 대상으로 어림짐작으로 첫째와 막내의 키를 벽에 표시하도록 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엄마들이 첫째 아이의 키는 거의 정확하게 ... ...
메뚜기떼가 모든 걸 집어삼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음식물을 먹고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생물학 관련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21일자에 발표했다. 사막 메뚜기는 ‘두 얼굴’을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혼자 지낼 때와 군집을 이뤘을 때의 행동양상과 겉모습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이 메뚜기는 혼자일 때는 천적의 ... ...
흐르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떠난 연어들의 회귀 패턴을 56년 동안 추적한 자료를 분석해 올해 2월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연어들이 이동한 경로 주변 자기장 세기가 연어들이 태어난 강의 자기장 세기와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연어들이 '고향' 자기장 세기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이와 유사한 ... ...
원숭이가 '예의없는' 인간보다 낫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등 기본적인 대화예절을 지킨다는 연구결과를 셀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두 마리의 마모셋원숭이를 한 방에 넣고 소통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단, 이들은 서로를 볼 수 없게 방의 반대쪽 구석에 놨다. 그 결과 두 원숭이는 상대방이 ... ...
합성섬유로 만든 옷 빨래 잘못했다간 '지구적 재앙'?
동아사이언스
l
2013.10.09
교수팀은 담수호도 미세 플라스틱에 심각하게 오염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 7일자에 발표했다. 고도가 높아 오염원이 상대적으로 덜 흘러드는 아고산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우선 이탈리아 가르다 호수의 물을 채취해 미세 플라스틱의 ... ...
전신마비 환자의 목소리가 된 곱셈!
수학동아
l
2013.09.23
교수는 ‘생각’만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해 생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특이한 것은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 사람은 머릿속으로 26×13과 같은 두 자리 수 곱셈을 하는 정도의 집중을 할 때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데, 바로 이 점을 활용한 것이다.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주기성(차고 기욺)과 수면 사이의 관계가 정말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8월 5일자에 실렸다. 스위스 바젤대 정신병원 시간생물학센터 연구자들은 성인 33을 대상으로 수면의 양과 질을 분석한 결과 달의 주기성과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달의 차고 기욺이 ... ...
차가운 얼음 밑 생태계 변화 '정신 못차리겠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2007년(A)과 2011년(B) 관찰되는 육방해면체의 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 Laura Fillinger, Dorte Janussen, Tomas Lundalv, Claudio Richter 제공 추운 겨울 많은 생물들은 생존을 위 ... 모습이 찾아올 수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셀에서 발행하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11일 게재됐다 ... ...
야생 거미는 사냥 유리하게 거미줄 치는 '똑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5.30
잘 걸리는 방향을 기억했다가 그 방향의 거미줄을 더 팽팽하게 친다는 연구 결과를 ‘
바이올로지
레터스’ 5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거미의 이런 행동은 먹이가 걸렸다는 것을 더 빨리 알고 다가가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여덟혹먼지거미’ 27마리를 잡아 각각의 실험실에서 ... ...
인슐린 부족 당뇨병 치료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과정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포생물학 분야 권위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 5월호에 게재됐다.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양 조절 실패 때문에 생긴다. 췌장의 베타세포는 인슐린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 베타세포가 사멸하면 인슐린이 부족해 ... ...
이전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