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WHO가 정리한 신종 코로나 가짜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코로나바이러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까 - NO!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항생제는
박테리아
에만 효과가 있지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이며 항생제를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입원 중이라면 세균성 감염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192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단독 수상했다. 니콜은 모종의 병원체(훗날 리케차라는 작은
박테리아
로 밝혀졌다)가 체외 기생충인 몸니를 중간숙주로 해서 전염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과정에서 니콜은 병원체에 감염된 동물이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더라도 전파력이 있다는 뜻밖의 발견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이용해 지나가는
박테리아
를 붙잡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붙잡힌
박테리아
는 고세균에 내재화 돼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막 결합 성분으로 진화해 복잡한 생명체의 기원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슈퍼
박테리아
막을 항생제 사실상 없다" WHO 심각성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GARDP)을 맺었다. GARDP를 통해 20여 개국, 50개 이상 연구원, 기업과 협력해 2025년까지 슈퍼
박테리아
를 잡을 신약 5가지를 연구 개발할 예정이다. 효율적인 새 항생제를 개발해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에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의하면 수평적 유전자 전달이 이러한 해조류 소화 능력의 원인인지도 모른다. 바닷물의
박테리아
중 일부는 해조를 분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온 바다가 해조류로 가득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균의 유전자 중 일부가 장내 미생물의 유전자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다. 일본인의 장내 ... ...
세계 최초로 '살아 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지금까지 주로 살아 있는 동물의 팔다리 근육을 대체하는 기계장치나 곤충과
박테리아
에 미세한 장치를 달아 움직이게 하는 사이보그 로봇을 개발해왔다. 또 세포와 같은 생명체 일부를 로봇에 집어넣어 동물의 자연스런 동작을 모방하는 생체모방 기술을 집중해서 개발해왔다. 연구팀은 ... ...
[과학게시판] '슈퍼버그' 특별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기적이라고 불리는 항생제의 개발부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키운 슈퍼
박테리아
, 슈퍼
박테리아
를 없애기 위한 새로운 연구를 소개할 예정이다. 관람은 무료이며,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13~17일 대전 본원에서 전국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물론 위생가설은 조금 설득력이 약하다. 일단 우리 선조는 신석기 이전까지는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감염에 많이 시달리지 않았다. 인구 밀도가 낮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시는 사실 별로 ‘위생’적이지 않다 ... ...
치료 어려운 '호중구 천식'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환자 분류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특히 중요하다. 백혈구에서 가장 비중이 높으면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 병원체를 제거하는 ‘호중구’가 관련된 천식은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는 데다가 항체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알러지 반응이나 기생충 감염 등에 관여하는 ... ...
가오리처럼 '웨이브 댄스' 추는 표면 오염 방지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조절해 인공근육이 오염물을 가장 잘 제거할 수 있는 조건도 찾아냈다. 박 연구원은 “
박테리아
가 표면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오염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정훈의 교수는 “기존의 움직이지 않는 오염 방지 표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라며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