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분
영양
영양소
자양분
음식물
음식
뉴스
"
영양분
"(으)로 총 4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칠맛’ 잃으면 건강 잃는다
2015.01.26
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에도 있기 때문에 이 감각에 문제가 생기면 장에서 일어나는
영양분
흡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그 결과 살이 빠지고 건강에 전반적으로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연구진은 노인들이 여러 질병을 앓으면서 복용하는 약의 부작용으로 맛 인식 기능에 장애가 생긴 ... ...
간 80% 넘게 손상돼야 이상신호 느껴져… 국소 방사선 요법으로 癌크기 줄여 절제
동아일보
l
2015.01.05
발견에 실패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만성 간질환자는 정기검진 필수 간이 나빠지면
영양분
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쉽게 나른하고 피곤해진다.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구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 담즙 생산이 원활하지 못해 배가 더부룩하고 설사를 한다. 눈과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 ... ...
[Health&Beauty]피곤하고 무기력… 겨울이 주는 스트레스, 식초로 활력있게!
동아일보
l
2014.12.17
한다. 중국에서도 3000년 전부터 쌀 식초를 만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영양분
은 우리 몸속의 ‘미토콘드리아’라는 세포로 들어가 TCA 사이클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한다. TCA 사이클이란 생물에게 있어 가장 보편적인 세포 내 물질 대사의 주요한 경로로, 근육활동 등에 필요한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유지하다가 원하는 시간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미생물은
영양분
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이 불리해지면 DNA 보존을 위해 세포외벽에 단단한 보호막인 ‘내생포자’를 만드는 특성이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내생포자가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만나면 다시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잘라냈다. 보통 소장의 길이가 6~7미터이므로 거의 20%를 제거한 셈이다. 소장은 소화한
영양분
을 흡수하는 기관이므로 길이를 줄여 에너지 흡수율을 떨어뜨리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수술로 환자의 비만을 고치는 데는 실패했지만 대사를 개선해 변비를 없앴다고 한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이 더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공급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숙주와 파이를 나눠먹는 존재다. 즉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
의 6% 정도는 장내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용량 항생제 복용으로 장내미생물 숫자를 억제할 경우 그 에너지가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호르몬 역할을 하는 다양한 ... ...
한국인, 칼슘-인 영양 균형 무너졌다
2014.10.17
하지만 한계도 있다. 권오란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현재 우리가 먹는 식품별
영양분
의 함량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지 않았다”며 “식품을 섭취한 사람의 혈액 지표로 분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세포가 삐뚤어져요
2014.09.12
생산율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셀’ 11일자에 발표했다. 세포가 과열되거나
영양분
공급이 부족해지면 단백질 생산 공정이 재구성되면서 기형 단백질을 만들어낸다는 것. 전자현미경으로 본 세포핵(파란색). 세포핵에 인접한 녹색 줄무늬 부분이 리보솜과 함께 단백질을 만드는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한 결과 초파리들은 소르비톨이 들어있는 먹이의 냄새를 훨씬 빨리, 오래 기억했다. 즉
영양분
이 있다는 피드백을 받아야만 먹이의 냄새에 대한 기억도 공고해지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칼로리가 있는 진짜 당분을 섭취할 때만 혈당수치가 올라가고(당연히) 뇌가 이를 감지해 쾌락반응을 일으키고 ... ...
치매로 잃은 기억, 되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06.30
6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성상교세포란 별모양(星象)처럼 생긴 세포로 신경세포에
영양분
을 공급해주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흔히 발견되는 반응성 성상교세포에서 알츠하이머병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새롭게 찾아냈다. ‘마오-B’라는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