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지구촌
글로벌
글로발
wald
world
word
뉴스
"
월드
"(으)로 총 715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산업기술 100장면] 2000년대 한국 디스플레이 강국 발돋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2012년 개통된 ‘이순신대교’, 2016년 국내 최고 높이 빌딩 기록을 갈아치운 ‘롯데
월드
타워’ 등이 이름을 올렸다. 산업기술들은 사람들의 삶에도 스며들었다. 2003년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2010년 KTX 산천 상용화는 한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었다. 한국인들의 삶을 바꾼 생활제품들도 소개됐다 ... ...
깡통 하나 못 띄우던 한국 '위성 개발 강국'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창업한 사람도 다수다. 연구소 재직 시절 자세제어팀에서 근무했던 이성호 드림스페이스
월드
대표는 “위성 제어 기술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에 기여하고자 2010년 드론 및 초소형위성(큐브샛) 개발 기업을 창업했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 연구소와 기업이 각자의 영역에서 기술을 ... ...
삼성전자, 가로로 반 접히는 새로운 형태 폴더블스마트폰 공개(종합)
연합뉴스
l
2019.10.30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업계에서는 이 제품이 내년 초 스마트폰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등에서 공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가로로 반 접히는 새로운 폼팩터의 폴더블 스마트폰 디자인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뉴스룸 동영상 캡처=연합뉴스] ... ...
[과학촌평]
월드
시리즈 중계에 등장한 우주인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일 미국 전역에 방송된 화면은 국제우주대회가 폐막했다는 의미도 있지만 시청률이 높은
월드
시리즈 중계를 지켜본 미국민들은 미국 정부의 향후 우주개발 계획에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정부의 막대한 우주개발 예산 투입에 국민들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각국 정부에 던지는 메시지는 ... ...
국내 최대 ‘지하도시’ 짓는데 지하수가 걸림돌?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가라앉거나 시설에 균열이 생기기도 한다. 서울 송파구 잠실 석촌호수 근방에 제2롯데
월드
를 지을 때도 인근에 잇따라 싱크홀이 발생하자 전문가들은 공사장으로의 지하수 유실이 원인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시추공 13개를 파고 지하수위를 측정한 결과 공사를 진행해도 지하수 수위에 ... ...
멀리 떨어진 사용자들 가상현실 공유하는 플랫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기여할 계획이다. 유범재 연구단장은 “에스피테크놀로지, 플레이스비, 패러렐
월드
등 기업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해 플랫폼을 개발하고 두 곳 이상의 원격지를 연결해 서비스를 자체 검증한 후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향후 1~2년 내 플랫폼 기술을 완성하고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 ...
산업용 로봇팔 조종하는 스마트 마우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원하는 방향으로 로봇을 조작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사진은 이달 9일 열린 '2019 로보
월드
'에 전시된 장치의 모습이다. 로봇 팔 끝에 달려있는 장치가 제어장치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산업용 로봇팔을 움직이게 하려면 버튼이 가득한 제어장치로 조작하거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제어해야 ... ...
로보
월드
개막…"로봇부품 日의존도 낮추자"
연합뉴스
l
2019.10.10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1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로 14회를 맞이하는 로보
월드
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의 공동 주관으로 10개국 160개사가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 국내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로봇 박람회로 나흘간 로봇 관련 전시회, ... ...
명상단체·창조과학 정면 비판 김우재 교수 모욕·명예훼손 일부 '죄 없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새로운 인지기능도 연구한다. 이승헌 한국뇌과학연구원장은 뇌호흡 단체 단
월드
의 설립자이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 총장을 맡고 있다. 과학계 내부의 비판이 거세지자 강연자로 참석하려던 김경진 전 한국뇌연구원장,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 등은 행사 하루 전 강연을 취소했다. ... ...
[2019 노벨상] 대학원생 업적, 정년 이후 연구로도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5
전체 평균은 44.1세였다. 4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화학 전문매체 ‘케미스트리
월드
’에 따르면, 1901~1950년대에 노벨상을 학자들의 수상 업적 논문 발표 시기는 평균 35.4세였다. 뵈르크 교수에 따르면 1990년대 말 이후 수상자들은 수상 업적을 낸 뒤 노벨상을 받기까지 평균 22년 이상의 시간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