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뉴스
"
통로
"(으)로 총 467건 검색되었습니다.
낮에는 전기 만들고, 밤에는 전광판으로
2015.05.11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광전소자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
에 극성용매인 ‘에탄올아민’을 처리해 전자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줬다. 그 결과 광전소자의 휘도(luminance·빛의 단위 면적당 밝기 정도)는 기존 소자보다 5배가 향상된 545cd/㎡가 됐다. 또 태양전지 효율도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발견한 것. 피브로인은 명주샘 안에서 용액상태로 존재하는데 거미줄로 만들어지는
통로
에 따라 수소이온지수가 중성(pH7.6)에서 약산성(pH5.7)으로 떨어지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아진다. 이 과정에서 피브로인이 가지런히 배열하면서 강력한 섬유가 만들어진다고. 따라서 이 환경을 재현한 방적 ... ...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Evan-Amos 제공 영국 연구진이 자세를 바꾸거나 적절한 부위에 다른 자극을 주면 사람이 느끼는 통증을 줄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내놨다. 만성 통증질환 환자들의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젤라 메로타 런던대 인지신경과학연구소 박사팀은 통증을 느끼는 부위의 위 ... ...
“생물다양성 보존은 지구를 지키는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25
약 12,500km의 생태 띠로 키운 독일의 예를 들었다. 또 “4km 폭의 DMZ는 인간이 이동하는
통로
몇 개만으로도 쉽게 분절되어 생물다양성을 잃을 것”이라며, “통일이 되더라도 이 생태 띠는 반드시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강연을 마치며 “앞으로는 정부가 시행하는 대규모 정책의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못하고 있다. 특히 신장과 폐, 피부 등의 인체조직에 영양소를 전달하고 물질교환
통로
역할을 해 주는 기저막을 똑같이 만드는 기술도 해결해야 하는 숙제였다. 연구진은 나노섬유를 만들 때 사용되는 전기방사법을 응용해 독성이 없는 성체 적합 고분자 물질로 나노섬유 형태의 투과막을 만드는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
2015.03.04
국내 연구진이 나노 크기의 약물이나 기능성 나노 입자를 원하는 위치에 전달할 수 있는 ‘나노
통로
’를 개발했다. 문명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 ... 에 힘을 가해 주면 주름 윗부분이 달라붙으면서
통로
(오른쪽 위)가 만들어진다. 아래는
통로
안에 금 나노 입자를 포집한 모습. - KIST ... ...
내년에 ‘자기부상 엘리베이터’ 나온다
2015.02.27
위아래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반면 멀티 엘리베이터는 위아래뿐 아니라 좌우로 난
통로
를 따라 엘리베이터가 움직인다. 정해진 노선을 따라 순환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처럼 엘리베이터 한 대가 지나가면 다음 엘리베이터가 그 뒤를 따라간다. 케이블도 없다. 멀티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 원리는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지하 130m 거대 ‘사일로(silo)’에 묻혀
2015.02.25
저장고인 사일로가 그 안에 자리 잡고 있었다. 사일로는 개미집 같은 구조로, 가운데
통로
를 두고 지름 23.6m, 높이 50m인 원통형 방이 양쪽으로 3개씩 총 6개가 늘어섰다. 트럭이 왼쪽 첫 번째 방인 ‘2번 사일로’ 앞에 멈춰 서자 높이 5m의 노란색 트롤리에 달린 초록색 그리퍼(크레인)가 서서히 ... ...
한파에 폭설까지, 빙판길 미끄러지지 않는 방법
2015.02.09
밖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단단히 언 눈길 중간에 눈 녹은 물이나 빗물이 빠져나가는 하수
통로
가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창살을 제외하면 커다란 네모 구멍이 대부분이니 눈이 쌓일 리 없다. 빈공간이 많다고 안 미끄러질 것이란 생각은 금물이다. 오히려 신발과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약간의 수막만 ... ...
당신이 넘어지지 않는 건 ‘뇌’가 아니라 ‘허리’ 때문
2015.02.01
변형시킨 광견병 바이러스를 실험용 쥐에게 감염시키고 쥐가 발로 느낀 감각이 어떤
통로
를 통해 전달되는 지를 관찰했다. 광견병 바이러스는 신경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연구의 재료로 선택됐다. 광견병 바이러스를 관찰한 결과, 발이 느낀 촉감과 압력에 대한 감각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