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라톤의 달콤한 중독 러너스 하이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마음은 텅빈 상태에서 채워지기 시작한다. 오후까지 나의 생활 속에 부드럽고 지속적인
에너지
, 힘, 그리고 두려움 없는 지혜를 갖게 되는 기분이 든다.”장거리 러너의 이런 표현은 운동과학자들과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운동과학자들이 운동 하이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했다. 첫번째 ... ...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때문이다. 태양의 고도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높다. 따라서 겨울보다 여름에 태양
에너지
를 더 많이 받고, 여름이 겨울보다 더 더운 것이다.거리의 차이에 따라 눈에 보이는 태양의 크기도 달라진다. 당연히 태양이 가까워지면 크게 보이고 멀어지면 작게 보인다. 올해 태양의 겉보기지름은 1월 4일에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뿐이다. 물은 중력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온다. 즉 높은 곳에 있는 물은 위치
에너지
가 커서 아래로 내려오는 것이다. 따라서 유수풀에는 뭔가 인위적인 장치가 설치돼야 한다.튜브에 몸을 싣고 유수풀을 떠다니면서 바닥을 살펴보자. 그러면 바닥에 너비 1m 정도의 구멍 뚫린 철망을 발견할 수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여성이 나이가 들면 미토콘드리아에 문제가 생겨 세포분열을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가 충분히 생산되지 않아 불임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한다.1998년 코헨 박사는 이런 불임부부를 위한 해결책으로 ‘세포질이식법’을 통해 건강한 여성의 세포질을 넣어주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내용의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블랙홀의
에너지
를 직접 꺼내 쓸 수 있다는 이론들이 주장되면서부터, 블랙홀은‘
에너지
탱크’로서 우리에게 다가왔다.유입물질 원반 속에 숨어서 강력한 제트를 분출하며 맹렬히 회전하고 있는 거대한 블랙홀은 천문학의 세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하지만 연구 범위가 블랙홀 사건의 ... ...
달콤한 물을 마시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인간은 극한 상황에 처하면 수분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호흡과 대사율을 낮추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생명체의 탄생·생존·진화의 신비로움은 자연스럽게 물과 연결된다.물의 사전적 의미는 ‘상온에서 맛과 색깔과 냄새가 없는 액체’이다. 하지만 분명 우리는 물맛을 ... ...
에이즈 연구 유전자칩으로 가속화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것을 이용해서 HIV가 공격목표로 삼는 경로에 속한 유전자 그룹을 찾아냈다. 실험 결과,
에너지
를 생성하고 DNA를 복구하는 경로는 단절되고, 세포 방어경로가 활성화됐다. 결국 세포 방어경로는 세포 자살유전자를 활성화시켰다.미 메릴랜드 에이즈 백신연구소의 개리 내벨 소장은 “이런 연구를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걸 역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나눠서 파악해 보세요(그림4).답 : 이건 hν의
에너지
를 가지는 빛이 전자에 부딪혀서 산란되는 상황입니다. 이때 운동량 보존법칙에 따라 충돌 전의 총 운동량과 충돌 후의 총 운동량이 같습니다. 그런데 이걸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나눠서 파악할 수 ... ...
뱃살 빼려면 30분 이상 뛰어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따라서 강도가 너무 높은 운동은 피하도록 한다.셋째, 운동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지방이
에너지
원으로 동원되는 비율은 점점 증가된다. 따라서 뱃살(복부지방)이나 체중 감량을 원할 경우 30분 이상 장시간 동안 운동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넷째, 운동을 처음 시작하면 뱃살 중에서 피하지방이 먼저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중형저서생물(0.032-1mm 사이의 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살고 있다. 몸집이 작으면 필요한
에너지
의 양이 절약되기 때문이다. 먹이의 중요한 경쟁자인 대형저서생물이 심해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형저서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비율이 커진다. 또한 대형저서생물의 일부가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