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07.14
탄탄하게 다질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을 전공하면서는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주변 사물의
형태
나 재질, 움직임을 세밀하게 관찰하는 능력이 길러진 것 같다. 이런 역량들이 합쳐져 결국 레벨디자이너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Q. 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 대학교를 졸업한 뒤 3차원 사물을 그리는 ... ...
[카드뉴스] 보이지 않아도 알아요
2018.07.12
방식으로 재료를 3차원 구조로 만드는 ‘키리가미(きりがみ)’ 방식을 채용해 얇은 필름
형태
의 나노 헬스케어 탐침을 개발했다. 이는 쉽게 휘어져서 몸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 연구팀은 대뇌 피질처럼 주름진 대뇌 피질 등에 안정적으로 붙여 알츠하이머 등을 모니터링하고 치료할 때 ... ...
[이강운의 곤충記] 직접 알을 품는 물장군의 부성애
2018.07.11
함께 산 1억 5000만 년의 긴 시간 동안 공룡은 대기 농도에 맞춰 몸집이 커지고 다양한
형태
로 진화하면서 지구의 지배자가 되었다. 커지면서 강력해졌으므로 대부분 생물들은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공룡처럼 빅 사이즈를 원했다. 물속 생물의 최상위 포식자인 물장군도 큰 몸집으로 늘리기 위해 ... ...
석탄 부산물로 첨단 원료 ‘탄소섬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1
만들어진 탄소섬유 원료는 산소 함량과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방사성이 낮아져 섬유
형태
로 만들기기 극히 어렵다, 에너지연 연구진은 2단 열처리 기법을 적용해 분자량을 안정적으로 조절, 머리카락 10분의 1 굵기(10μm)의 완전한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을 독자 개발했다. 정두환 연구원은 ... ...
표준연, 차세대 헬륨이온현미경 속 '원자 3개 크기' 탐침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18.07.11
수 있는 원자 3개 크기의 이온빔을 만들었다고 11일 밝혔다. 이온빔은 이온으로 된 빔
형태
의 입자로, 광학현미경의 빛처럼 물질을 비춰 시야에 보이게 하는 광원 역할을 한다. 이온빔의 분해능을 높이려면 빔이 통과하는 탐침의 면적을 원자 수준으로 최소화해야 한다. 하지만 텅스텐으로 정교한 ... ...
과학기자의 티베트 현지 고산증 체험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7.10
위험 기자가 티베트에서 가지고 돌아온 참기름 병. 한국에 돌아오자 기압차로
형태
가 크게 변했다. 해발 2000m 이하에서는 고산증을 겪는 사람이 거의 없지만, 3000m 높이에서는 약 40%의 사람들이 많든 적든 증세를 호소하게 된다. 컨디션과 기압에 따라 평소엔 증세를 호소하지 않던 사람이 어느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유전자들을 370여 개나 갖고 있었다는 건 어쩌면 이들이 단순한
형태
의 다세포성(군체)을 지니고 있었음을 뜻할지도 모른다. 그 뒤 깃편모충류 계열로 진화하면서 일부는 이런 특성을 유지하고 일부는 잃어버려 평범한 단세포생물이 된 것 아닐까. 반면 동물 계열로 ... ...
[이달의 사물] 물총
과학동아
l
2018.07.10
공기가 들어가면서 공기의 압력으로 물을 밀어내는 것이죠. 보통 많이 쓰이는 펌프
형태
는 펌프를 이용해 공기압을 높여 더 강한 물줄기를 뿜어냅니다. 물총 놀이를 하다 보면 온몸이 흠뻑 젖습니다. 무더위를 잊고 잠깐 동안이라도 서늘함을 느낄 수 있죠. 물이 수증기로 바뀌면서 증발하고 이때 ... ...
'하트시그널'로 본 연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07.07
피부세포와 뇌세포를 연결하는 원시 신경계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강력한 의사소통의
형태
인 동시에, 유대감 형성에 좋은 방법이 스킨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스킨십은 때로 불쾌감을 유발한다. 하트시그널 방송 중 출연자들이 옷깃이나 팔꿈치 등을 잡는 방식처럼, 시작하는 관계에서는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발표됐다. 3. 약물 전달 캡슐형 마이크로 로봇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캡슐
형태
에 박테리아의 움직임을 모사한 추진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5월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기술 중 하나인 3차원 레이저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