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129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첫 달궤도선 '다누리' BTS 다이너마이트 영상 보내와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밝혔다. 다누리가 보내온 영상과 사진들은 다누리 홈페이지(www.kari.re.kr/kplo)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달-지구 공전 중 달이 지구를 통과하는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생존 전략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단백질은 항-크리스퍼 유전자의 발현을 막아 크리스퍼-카스를 정상 작동시킨다는 사실이
확인
됐다. 박 교수팀은 Aca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통해 이 단백질이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해 바이러스의 무기가 되는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방법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사이언스 제공 얇은 섬유다발처럼 보이는 선들이 일렬로 연결돼 출렁이는 모습이 사이언스 표지에 담겼다. 신경세포(뉴런)의 연결성을 표현하기 위해 뇌를 중앙에서 본 모습을 ... 뇌에 침을 꼽는 등 물리적 자극 대신 뉴런이 만드는 전기신호를 포착해 뉴런의 연결성을
확인
할 수 있다 ... ...
뇌 기능 실시간 촬영...30년 된 일본 기술 대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박장면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은 실시간으로 뇌 신경작용을 관측할 수 있는 영상기법 '다이애나'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에 ... 한 검증작업이 필요하다”며 “특히 마취 상태에 있는 사람의 뇌에 대한 성능을
확인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청개구리’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항상성, 노화 과정을 유지하는 ‘생물학적 과정’의 비율이 7%씩 늘어난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생물학적 과정이란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생물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과 관련된다. 물질대사나 항상성, 노화 등이 대표적인 생물학적 과정으로 과학자들은 생물체의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
2022.11.05
전 날 학습한 정보를 기억장소에 저장하는데 필수적인 뇌활성임을 다시 한 번
확인
해 준 것이다. 그 과정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주기적 농도 변화가 수면방추 발생 조절을 통해 전날 학습한 정보를 뇌속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반적인 통념과 다르게 ... ...
분노는 ‘팡’ 터지지 않고 서서히 끓어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강해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공격 행동을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강한 신호 등이
확인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분노를 느끼고 공격성을 지시하는 뇌의 시상하부는 끄고 켜는 스위치보다는 서서히 음량을 올리는 볼륨 조절기와 가깝다”며 "볼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마치 그릇에서 ... ...
중국 로켓 잔해 4일 17~21시 추락할 듯…"한반도 향할 가능성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의 분석 결과 창정 5B 발사체 잔해는 4일 오후 5~9시 지구에 추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추락 지역 범위에 한반도는 없는 것으로 ... 많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와 천문연은 최종 추락 지점과 시간 등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
하는 대로 다시 공지할 예정이다 ... ...
악성 뇌종양 항암 면역반응 높이는 대식세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중요한 대식세포의 마커를 발굴했으며 대식세포가 항암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확인
했다”며 “면역관문 치료제의 효과를 높이는 복합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온라인판에 지난달 20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팔라듐 백금 코어-쉘 나노입자 3차원 구조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발견했다. 이론적으로만 예측됐던 계면과 표면 구조 변형도에 대한 상관성을 실험적으로
확인
했다. 양용수 교수는 "그동안 2차원적인 분석 또는 낮은 분해능에 국한된 코어-쉘 구조 연구에서 벗어나 원자 하나하나까지 3차원적으로 들여다본다는 완전히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ˮ며 "각각의 원자를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