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개발했다. 이 서비스를 바탕으로 벤처까지 창업했다. 노 씨는 “공학자들은 기술창업으로 세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개발 동기를 밝혔다.버블시티는 특정 공간에서 올라오는 메시지들을 지도 위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별도의 친구 등록 절차 없이 일정한 공간 안에 있는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방법은 없을까? 대부분의 사이버테러는 해킹을 기반으로 한다. 해킹을 막으려면 보안 기술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으로 해킹하면 막을 방도가 없다. 따라서 그 해답은 암호에서 찾고 있다. 해킹으로 고급 정보를 빼갔다 하더라도 볼 수 없게 만들면 해커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기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원자 하나를 행렬역학으로 기술하는 데 10개의 숫자를 사용한다면, 원자 10만 개를 기술하기 위해 숫자가 10100000개나 필요하게 된다. 이 수는 우주전체 원자의 개수보다 크다. 쓰는 것 조차 불가능하다는 뜻이다.광합성과 철새의 양자생물학생물학자는 분자를 마치 거시세계의 축구공처럼 다룬다. 꼭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 후, 그 위에 질화갈륨 박막을 기르는 방법을 고안해 훌륭한 품질의 박막을 만드는 기술을 발표했다. LED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장면이다. 1992년 나카무라 교수는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면 마그네슘 불순물도 소자로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방법은 파란색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때문에 이번 학회에서는 ‘미확인(missing) 단백질’을 더 빨리, 더 많이 찾는다양한 기술이 소개됐다. HPP 회장인 길버트 오멘 미국 미시간대 교수는 “지금까지 시료 속의 특정 단백질을 찾기 위해 질량을 분석하거나 항체 등을 이용했지만 최근에는 RNA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미확인 단백질의 80%를 ...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셈이다. 그는 “2000년대 후반부터는 생체인식 보안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여러 기술 가운데 얼굴인식 방식이 사용도 간편하고 응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 유망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2012년에는 직장 동료들과 함께 파이브지티를 창업했다. 1주일에 3~4일씩 밤을 새워가며 회사를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공간(저류층)을 인공적으로 만들고 지열로 물을 끓여서 지상의 발전기를 돌리는 것이 EGS 기술의 핵심입니다. 현재 호주, 미국, 독일 등지에서 EGS 지열발전소가 시험 가동 중이며 우리나라 포항에서 지열발전소 건설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Q 에너지자원공과를 졸업하면 어떤 곳에 취업하나요?A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수줍게 드러낸 비행기 내부 구조를 보며 비행기를 만들 때 쓰이는 복잡하고도 정교한 기술을 한 눈에 알 수 있지요. 공군기 조종석에 앉아 여러 계기판을 직접 만져 보거나 게임 같이 신나는 시뮬레이터로 조종 체험도 할 수 있답니다.How things fly~! 비행기는 어떻게 날아?그런데 비행기가 하늘로 둥 ... ...
- [수학뉴스] 카멜레온처럼 탈바꿈하는 암호화 기술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는 휴대폰을 통해 이뤄지는 대화 내용을 암호화하는 ‘다이나믹 암호화’란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통신 중개 업체들은 대부분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이라는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상호간 도청이 가능하다. 이 점에 착안해 라르스 교수는 기존의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모든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교육용 재료나 장난감이 아니라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처럼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이 한 장으로 입체 조형물을 만들어 내는 신비한 기술,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지 기대해 보자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